[뉴스토마토 안창현·백아란 기자] 코스피 지수가 6일 장중 3000포인트를 돌파한 가운데 증권가는 올해 코스피가 최대 3300까지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식 매수를 대기하는 투자자예탁금이 68조 규모로 든든한 데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이 높아 증시 추가 상승여력은 충분하다는 평가다.
다만 주가가 더 오르려면 기업 실적이 시장 예상치보다 더 올라야하기 때문에 한동안은 3000선 안팎으로 등락을 반복하는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 재확산에 맞설 백신 접종의 결과, 그리고 3월에 재개될 공매도 등이 증시 변동성을 야기할 변수로 꼽힌다.
주요 증권사들은 최근 올해 코스피 전망치 상단을 300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코스피가 더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삼성증권은 올해 코스피 전망치를 2700∼3300으로 제시했다. 두 달 전의 예상치 2100~2850에서 크게 올라간 수준이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기존 2260∼2830에서 2620∼3100으로 전망치를 높였다.
대체로 시장 전문가들은 높아진 밸류에이션을 부담 요인으로 꼽으면서도 증시 추가 상승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모습이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단기간에 걸친 주가 상승 부담에도 현재 다른 자산들에 비해 주식은 매력적인 투자자산으로 여겨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부동산시장은 급등한 집값으로 정부 규제가 강화됐고, 코로나발 초저금리 상황에서 개인들의 주식 투자가 계속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개인투자자들은 올 들어 3조원 넘는 주식을 쓸어 담았다. 새해 첫 거래일인 지난 4일 코스피 시장에서만 1조310억원을 순매수한 개인은 5일에도 7283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이날도 개인은 2조239억원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3조6559억원, 1조69억원 순매도한 것과 비교해 개인이 지수 상승을 견인한 것이다. 주식 매수를 위한 대기성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68조 규모로 사상 최고다.
최 연구원은 "지난 2012년부터 지속된 박스권 장세 탓에 개인들의 주식 비중이 줄어들어 앞으로 자산 배분에서 주식 비중을 늘릴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3000포인트를 돌파하고 상승폭이 축소하거나 차익실현 압력이 있을 수 있겠지만, 상승 추세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국내 기업들이 실적 전망도 추가 상승을 기대하게 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상장사 영업이익 추정치를 보면 기관 3곳 이상의 실적 추정치가 있는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상장사 247곳의 올해 전체 영업이익 추정치는 지난해 12월에 비해 0.96% 늘어난 181조2825억원이다. 올해 코로나 백신 접종 등으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동호 리딩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도 고강도 경기부양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을 이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백신 등으로 코로나 상황이 개선되면서 기업들의 실적과 이익 전망치도 올라가 주가 상승 동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 연구원 역시 "국내 증시의 주도주가 IT와 바이오 등의 첨단 산업군으로 바뀌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단기 과열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나온다. 장기적으로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 단기 조정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과거 사례를 찾아봐도 코스피가 9주 이상 연속 상승 후 쉬어갈 경우 강한 2차 상승추세가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반면 단기 조정 없이 오버슈팅이 강해질 경우 추세반전으로 이어졌다.
실제로 일부 수급지표에서는 '심리적 과열'이 나타나는 모습이다. 지난 4일 기준 국내 주식시장 내 평균 예탁금 회전율은 61.34%로 집계됐다. 예탁금 회전율은 주식 거래대금을 고객예탁금으로 나눈 수치로, 개인투자자들이 맡겨놓은 예탁금 가운데 실제 주식 거래에 사용되는 정도를 파악할 때 활용된다. 통상 예탁금 회전율이 40%를 넘으면 과열권 초입, 50%를 넘으면 과열권에 완전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 팀장은 "현재 코스피는 쉬어야 더 멀리 갈 수 있다. 쉬지 않고 계속 상승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좋을 수 있지만, 과도한 상승으로 인한 부작용은 커질 것"이라며 "2021년 정책, 유동성 모멘텀과 펀더멘털 동력을 감안할 때 단기 투자심리·수급변화로 인한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할 때"라고 설명했다.
표/뉴스토마토
안창현·백아란 기자 chah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