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동현 기자]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의 대표적인 불만 사항 중 하나는 비싼 요금제다. 제대로 터지지 않는 불통 문제와 더불어 고용량·고가 요금제가 불만을 가중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정부와 이동통신사들은 비대면 전용 상품, 가상이동통신망(MVNO) 상품 등으로 5G 요금제를 확산하며 소비자 달래기에 나섰다.
민생경제연구소, 소비자시민모임,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등은 5일 서울시 중구 SK텔레콤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신 단말기의 5G 전용 출시, 고가요금제 등의 문제를 지적하며 이동통신 3사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해결을 촉구했다.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이통 3사가 5G 서비스 불만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조속한 시일 내에 가입자 보상방안을 마련하고 중저가 요금제를 출시해 요금제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G의 서비스 품질 논란이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요구하는 목소리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KT는 지난달 온라인 전용 요금제 'Y 무약정 플랜'을 출시했다. 사진/KT
이같은 분위기 속 이통사들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자 이통사들은 전용 온라인몰을 통한 비대면 전용 요금제를 출시하며 가격대를 일부 낮췄다. 앞서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온라인 전용 요금제가 통신비 인하 방안으로 거론되자 이통 3사는 온라인 유통 비중을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SKT는 3만8000원~6만2000원대의 온라인 전용 요금제 3종을 출시하기도 했다. KT, LG유플러스도 온라인 유통을 강화하며 'Y 무약정 플랜', '5G 다이렉트' 요금제 등을 제공 중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이통 3사는 데이터 제공량에 따라 현재 3만~13만원대의 요금제 10여종을 출시한 상태다. 그러나 10~100GB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는 없어 '실속형' 요금제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업계는 "데이터 이용자 성향에 따라 요금제를 제공하며 요금 선택권을 강화한 것"이라 항변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게임 등 고용량 데이터를 요구하는 서비스 이용자 수요를 맞추는 동시에 중저가 요금제도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데이터 사용량을 감안한 이통사의 요금 전략이 계속되는 가운데 중·소량 구간 요금제 수요는 결국 알뜰폰이 채울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도매대가(이통사 망을 임대한 알뜰폰 사업자가 내는 사용료)를 인하함에 따라 이달부터 알뜰폰 10개 사업자는 4만원대 30GB, 3만원대 12GB 이하 중·소량 구간의 요금제를 출시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상반기 중에 이통사의 12~150GB 구간 요금제 상품을 알뜰폰에 신규 도매제공하고, 도매대가는 63% 이하로 설정해 이통사보다 30%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게 지원했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통신경쟁정책과장은 지난 1일 브리핑에서 "5G에서 처음으로 알뜰폰 독자 요금제가 설계됐는데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5G 시장 경쟁이 촉진되길 기대한다"며 "통신이 LTE에서 5G로 전환하며 알뜰폰 사업자도 기존 LTE에서 멈추지 않고, 5G로 넓힐 필요 있다는 지적에 (이번) 요금제를 출시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올 1월 온라인 전용 '5G 다이렉트' 요금제 2종을 신설했다. 사진/LG유플러스
김동현 기자 esc@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