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체육문화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백신예방접종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접종을 마친 후 이상반응 관찰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오는 4분기부터 소아·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예정된 가운데, 득과 실을 고려한 정책 결정이 수반돼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국내 소아·청소년 상황에 맞는 데이터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견해다.
2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4분기 안에 12~17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시작할 예정이다.
세부적인 백신 접종 계획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방역당국과 교육부는 이달 중 접종 시기, 대상, 백신 종류 등을 담은 시행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화이자 백신이 소아·청소년 접종에 쓰일 가능성이 크다. 허가당국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2세 이상을 대상으로 허가한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 '코미나티'가 유일하다.
소아·청소년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문제다.
영국과 홍콩은 소아·청소년 대상 백신 접종을 실시하면서도 접종 횟수는 1회로 제한했다. 미국에선 청소년 대상 화이자 백신 접종으로 인한 심장 염증과 입원이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위험보다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반면 이스라엘은 12~15세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각국의 다른 정책들과 여러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백신으로 인한 이득이 위험을 상쇄하느냐가 소아·청소년 접종을 결정할 바로미터가 된다.
은병욱 서울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반적으로 소아·청소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이득이 성인에 비해 떨어진다고 나온다"라며 "이득이 있다고 하기도, 없다고 하기도 어렵다"라고 말했다.
은 교수는 예방효과와 안전성 등 단순한 득실을 넘어 개인의 상황을 고려하고 사회적인 효과도 감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비교적 나이가 어린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은 접종을 하더라도 사회적 이득이 크지 않을 수 있다"라며 "가족 내 고위험군 환자가 있는 경우 소아·청소년이 전파자가 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으로 정책 방향을 잡더라도 한국인 맞춤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화이자 등 기존 개발업체들은 대개 서구권에서 임상을 진행했는데 백신의 경우 인종, 신체조건에 따라 안전성과 효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영국과 달리 소아·청소년에서 코로나19 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거의 없는 수준"이라며 "성인 백신 접종률이 올라가면서 풍선효과로 학교 내 소아·청소년 확진자가 늘어날 수 있지만 효과(베네핏)과 위험(리스크)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같은 백신이라도 인종이나 체격, 기저질환 유무에 따라 부작용 정도와 발생 빈도가 다를 수 있다"라며 "화이자 백신 접종을 충분히 했으니 우리나라는 우리나라 자료를 토대로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