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메일
페이스북 트윗터
(영상)"끝까지 간다"…완성차업계 짙은 파업 그림자
올해 임금교섭 시작…기본급 인상·고용안정 쟁점
입력 : 2022-06-07 오후 3:10:49
 
 
[뉴스토마토 황준익 기자] 국내 완성차 업체 노사가 올해 임금교섭에 들어갔지만 노조 요구안의 공통적인 쟁점인 '임금인상'과 '고용안정'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대법원에서 합리적인 이유 없이 연령만 고려해 임금을 깎는 임금피크제는 무효라는 판단이 나오면서 강도 높은 투쟁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005380)는 8일 노사 7차 단체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기본급 월 16만5200원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기본급 인상액(월 7만5000원)의 두 배가 넘는다. 성과급 전년도 순이익의 30% 분배, 호봉제도 개선 및 이중임금제 폐지 등도 요구안에 담았다.
 
기아(000270) 노조도 현대차와 같은 인상안과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만 61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회사 측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감안하면 노조의 요구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교섭이 시작된 지 한 달 넘게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안현호 현대차 노조지부장은 6차 교섭 이후 "시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회사의 결단이 없다면 끝까지 간다"고 밝혔다.
 
올해 노조 집행부가 강성으로 분류되는 만큼 4년 만에 파업 가능성도 있다. 안 지부장은 '금속연대' 소속으로 과거 수석부위원장을 지냈고 1998년 현대차 정리해고 반대 투쟁을 이끈 인물이다. 
 
지난 2년간 노조와 큰 잡음 없이 임단협을 타결하며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실적을 유지해왔던 현대차는 강성 노조 등장으로 3년간 유지된 무분규 행진에도 제동이 걸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사진=현대차그룹)
 
한국지엠 노조 역시 올해 임금·단체협상에서 기본급 월 14만2300원 인상, 성과급 400% 지급, 공장별 발전전망 요구안 등을 주장하고 나섰다.
 
한국지엠이 처한 경영상황은 열악하다. 2014년 이후 8년 연속 적자다. 지난해 내수 판매량은 5만4292대로 전년 대비 34.6% 감소했다. 완성차 5개사 가운데 최하위에 머물렀다.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신차 출시 지연과 물량 부족이 판매 부진으로 이어졌다. 
 
결국 말리부와 트랙스를 생산하는 부평2공장은 연말 사실상 폐쇄를 앞두고 있다. 한국지엠은 지난달 부평2공장을 2교대에서 1교대로 전환했고 연내 부평2공장 인력 1200여명을 생산 확대가 예상되는 부평1공장(500여명)과 창원공장(700여명)으로 전환 배치할 예정이다. 본사인 제너럴모터스(GM)이 전기차 국내 생산 계획도 없다고 밝혀 노사 간 견해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김준오 한국지엠 노조지부장도 강성 성향이다.
 
완성차 업계 노조는 임금피크제 폐지도 주장하고 나섰다. 현대차 노조는  만 59세가 되면 임금을 동결하고 60세가 되면 기본급의 10%를 삭감하는 임금피크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아 노조도 임금피크제 폐지를 통한 정년 연장을 요구하고 있고 르노코리아 노조 역시 만 54세부터 임금이 10%씩 줄어드는 임금피크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고용불안과 임금불만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산업 현장을 강성 노조 지도부가 장악하면서 노사관계에 험로가 예상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국내는 강성 노조의 이미지가 크다 보니 외국에선 '국내에서 기업하기 어려운 구조다'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노조가 수용하기 힘든 주장을 계속하게 된다면 국내 산업 생태계 자체가 무너질 수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노사협상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자동차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부족으로 내수 수출 물량 모두 수개월씩 밀려 있다. 또 전기차 전환에 따라 현재 인력의 30~40%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2030년 전기차 비중이 33%에 도달할 경우 약 3만5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노조가 파업으로 발목을 잡는다면 기업들이 입는 타격은 커질 수밖에 없다.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지만 노사갈등에 따른 파업 등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경우 신차 효과는 반감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전환 시점에 잦은 노사갈등은 결국 신차 출고 지연과 글로벌 시장 점유율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황준익 기자 plusik@etomato.com
황준익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