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메일
페이스북 트윗터
(영상)열선에 배터리까지…자동차 시장도 '구독' 시대
국토부 연내 관련 규제 완화
입력 : 2022-08-02 오후 3:51:26
 
 
[뉴스토마토 황준익 기자] 전기차 배터리 구독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되면서 자동차 시장에 구독 경제 바람이 불고 있다. 차량 대여는 물론 자율주행과 같은 특정 기능을 구독하듯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8일 국토교통규제개혁위원회 2차 회의를 열고 배터리 소유권을 별도로 인정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 규제 개선안을 심의·의결했다.
 
규제개혁위는 연내 자동차등록령을 개정해 배터리 소유자가 자동차와 다른 경우 그 사실을 자동차 등록원부에 기재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꿀 방침이다. 배터리 구독 서비스를 출시하려는 캐피탈사 등 여신금융업계에서 개선 건의를 받아들인 것이다.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의 40%가량을 차지한다. 배터리 구독서비스가 상용화되면 배터리 비용이 제외된 가격으로 차량을 구매한 뒤 대여 비용만 내면 되기 때문에 초기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또 배터리 고장이나 방전에 따른 위험부담은 회사가 보장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현대차(005380)·기아(000270) 전기차를 구매한 뒤 #현대캐피탈과 배터리 구독서비스 계약을 맺는 방식이다. 4530만원의 기아 니로 EV의 경우 1000만원의 보조금을 제외하고 배터리 가격 2100만원까지 빼면 최종적으로 1430만원에 구매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사진=현대차그룹)
 
대신 고객은 배터리 금액을 구독 기간으로 나눈 비용을 매달 내면 된다. 업계는 정해진 구독 기간이 끝나면 고객이 배터리를 직접 가져가거나 새 것으로 교체해주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피엠그로우 등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업체가 구독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피엠그로우는 #KB증권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차량 구매 당시 피엠그로우가 차주로부터 배터리를 선구매한 이후 배터리에 대한 월 이용료를 받는 서비스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운행 도중 배터리에 문제가 생겨도 교체가 불가능하다"며 "특히 중고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구독 서비스가 이뤄지면 이런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터리 외에도 최근 완성차 업체들은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및 운전편의와 관련된 구독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BMW는 월 사용료를 받고 운전석·조수석 열선시트와 열선핸들을 쓰도록 하는 상품을 선보였다.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기능을 활용해 구독료를 내지 않은 차량은 쓸 수 없게 하고 구독료를 낸 차량만 해당 기간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방식이다. 국내 도입은 없다고 밝혔지만 앞으로 이 같은 방식의 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메르세데스-벤츠 역시 전기 세단 EQS에 적용된 후륜조향시스템 '리어 액슬 스티어링' 기능을 구독상품으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독일, 이탈리아에서 테스트베드 성격으로 시범 운영되고 있는데 1년 사용료는 489유로(약 67만원), 3년은 1169유로(160만원)다. 벤츠는 향후 적용 국가를 확대할 계획이다. EQS는 기본 4.5도 각도로 뒷바퀴가 회전한다. 사용료를 지불하면 최대 10도까지 가능하게 했다. 
 
테슬라의 경우 지난해 월 구독 형태의 완전자율주행(FSD) 옵션을 내놓았다. 테슬라는 모든 차량에 오토파일럿을 기본 탑재시키고 있다. FSD는 여기에 자동 차선변경과 신호등 인식 등의 기능을 추가 제공한다. 소비자는 1만2000달러(약 1489만원)를 내고 평생 FSD를 이용하거나 매달 199달러(24만원)를 내면서 사용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자동차 옵션을 스마트폰 앱처럼 구입하도록 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한다. 완성차 업체들은 모든 기능을 활성화해 출고하면 신차 가격이 높아지는 만큼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김 교수는 "소프트웨어 옵션을 통해 안전·편의장치 성능을 극대화하는 건 세계적인 추세인 만큼 소비자는 만족도를 높이고 업체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아직 자동차 소프트웨어 구입에 대한 거부감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습관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황준익 기자 plusik@etomato.com
황준익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