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인플레이션과 미국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 대한 우려감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 시대 급격히 성장했지만, 콘텐츠 제작비용 증가가 본격화될 경우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통합적 지원체계를 할 수 있는 마스터 플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상원 경희대 교수는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5차 디지털미디어콘텐츠진흥포럼에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 경우 노동시장에서 노동 비용 상승을 초래, 콘텐츠 제작 비용 증가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결국 미디어 시장 전반에 영향을 주며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미국의 금리인상 사이클로 한미간 정책 금리 역전 현상이 가시화될 경우 원화 가치 하락 압력도 미디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교수는 "원화가치 하락은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와 결쟁하는 국내 미디어 사업자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5차 디지털미디어콘텐츠진흥포럼이 열렸다. (사진=뉴스토마토)
이 교수는 현 시장상황을 고려해 정부가 시장의 조력자 역할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OTT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 3개 부처가 자신들의 소관법에 담기 위해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날 안형환 방통위 부위원장은 아시아비디오산업협회(AVIA) 주최 국제콘퍼런스에서 "레거시 미디어와 OTT 등의 새로운 미디어를 포괄하는 '시청각미디어서비스법'을 마련 중이며, 기존의 낡은 광고·편성규제 등에 대해서도 혁신적인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과기정통부는 전기통신사업법을 문체부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통해 OTT 업무를 소관하려 하고 있다.
이 교수는 국내 OTT 플랫폼과 콘텐츠의 지원을 위해 정부차원의 마스터 플랜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해 부처별로 분산된 관련 진흥 정책 기능을 통합해 효율성을 확보하고 정부와 기업 간 파트너쉽의 체계적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 상향 등 사업자가 직접적 혜택을 볼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국내 세액공제 비율은 대기업 3%,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로, 3년마다 제도가 일몰돼 2025년까지 적용되는데 공제율 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K-OTT 펀드 조성을 통해 경쟁력 강화에 나설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K-OTT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위한 투자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