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65세 이상에 진입한 이래 노인 특성이 급격히 변화한 만큼 고령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플라자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2 은퇴전략포럼-엔데믹과 3고 시대 노인복지정책 방안' 세션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고령 인력이 과거와 달리 경제적 목적 외에 다양한 목적에 따라 일하고 싶어하는 만큼 이에 발맞춰 노인 일자리 정책을 세심하게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부희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장은 "최근 들어 기업 현장에선 인력 부족에 대한 이야기를 상당히 많이 하고 중소기업 현장으로 갈수록 청년 일손이 모자라는 게 보편적"이라며 "이에 따라 기업에서는 어떻게 하면 고령자들을 조금 더 많이 활용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일을 하는 노인 중에는 소득이 필요해서인 경우도 있지만 삶을 더 윤택하게 하기 위해 일을 하거나, 이미 벌이가 상당히 되는 분들도 있다"며 "과거에는 고령자들이 주로 청소나 경비, 용역 일만 고려했다면 이제는 전문 영역이나 서비스, 제조업 등 다양한 길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능력 있는 고령자가 언제든지 일을 할 수 있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윤식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장은 "노인 실태조사를 보면 과거 노인들에 비해 현재는 자신이 상당히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1955년 이후를 우리가 베이비부머 세대라고 보고 있는데 이들이 노인 인구에 진입할수록 이런 특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복지부 또한 노인을 취약계층으로 보고 노인 복지 정책을 세우기보단 노년기 삶 전반에서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령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하자는 주장에 대해 이 과장은 "현재 노인이 몇 살이라는 게 법령에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진 않다"며 "대부분 65세를 노인 연령 기준으로 하지만 노인 일자리 같은 경우는 60세를 기준으로 삼기도 하고 그보다 더 고령을 기준으로 삼은 복지 제도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인 연령 상향은 정년, 연금 수급 등 다양한 요소를 함께 봐가면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에선 은퇴 후 안정적인 삶을 위해 자본시장 정책과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윤수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정책관은 이날 "개인의 노후 자산 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연금 자산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다"라며 "금융자산 말고 비금융 자산인 주택이나 이런 부분에 어떻게 유동성 유동화를 시켜서 활용도를 제고할 것인가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금융당국은 조금 더 안정적인 수익과 환금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상품들이 시장에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왼쪽)과 김진웅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장이 27일 전경련플라자에서 열린 '2022 은퇴전략포럼'에서 '엔데믹과 3고 시대 노인복지정책 방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