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3년 10월 24일 18:28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황양택 기자]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기업의 조달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부채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효과적인 부채 활용을 위해 기업의 수명주기나 기초 여건에 입각한 재무구조를 택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2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IB토마토> 주최로 열린 ‘2023 캐피탈마켓 포럼’에서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조달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라면서 "재금융 절벽(Refinancing wall) 우려로 채권시장의 불확실성이 크다"라고 진단했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사진=IB토마토)
금리상승에 따라 신규 기업대출 금리는 올해 7월 기준 5.3%로 상승한 상태다. 지난 2021년 7월에는 2.7% 수준이었는데 2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뛴 셈이다. 평균 차입이자율은 대기업이 4.0%, 중소기업이 6.1% 수준에서 형성됐다.
부실·한계기업 도산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차입이자율 대비 낮은 수익성이 지속되면서 기업 부실 유발이나 부실채권 발생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취약기업은 올 2분기 기준 40.7%,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은 20.5%로 나타난다.
이 연구위원은 "대내적 요인으로는
한국전력(015760)공사채(한전채)에 수급이 쏠리면서 채권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자금시장 경색 요인으로 작용했다"라면서 "미국 회사채 시장에서는 앞서 2020년에서 2021년 초저금리로 발행했던 회사채의 차환 수요가 2025년부터 대폭 확대되는 점도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혁신 기업의 자금조달 환경이 악화되면서 성장 둔화 추세의 고착화 우려가 커졌다"라며 "특히 안전자산 선호 현상에 따라 벤처 투자가 감소했는데, 업력 별로는 3~7년 중기기업 투자의 비중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라고 설명했다.
(사진=자본시장연구원)
채무불이행에 대한 위험으로는 현금 유동성 위험(Cash Crunch risk)과 부도 위험(Default ris)이 주요하게 언급됐다. 현금 유동성 위험은 영업 부문에서 현금흐름 손실로 6개월 이내 보유 현금을 소진하는 것이고, 부도 위험은 만기 시점에 기업이 상환해야 할 부채 규모가 기업 가치보다 큰 것을 뜻한다.
이 연구위원은 "재금융 부담의 경우 연도별 회사채 만기금액이 비교적 균등해 부담 요인이 제한적이다"라면서도 "발전 공기업 등의 자금조달 수요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자상환 부담의 경우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경기 둔화에 의한 수요 감소 시 부실기업을 중심으로 현금 유동성 위기가 예상된다"라면서 "특히 유틸리티나 건설 업종과 같이 고금리 상황에 취약한 업종을 중심으로 채무불이행 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사진=자본시장연구원)
효율적인 부채관리를 위해 기업의 수명주기를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도입기부터 성장기, 성숙기, 조정기, 쇠퇴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성장기와 성숙기 단계서 쇠퇴기 대비 더욱 보수적인 부채 활용 양상이 나타났다. 기초 여건이 우량하고 성장기에 진입한 기업이 주도적으로 부채를 축소했다.
이 연구위원은 "기업 수명주기에 따른 재무구조 선택과 주주환원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라면서 "도입기와 성장기에는 기초 여건에 부합한 레버리지 확대가 필요한 시기고, 조정기와 쇠퇴기에는 투자자본 수익률이 자본비용을 하회하면 부채 축소와 주주환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잠재 성장률 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매출 확대를 통한 이익 성장의 여지는 제한적이다. 당분간 마진율 개선이 이익 성장의 주요 경로가 될 가능성이 있다"라면서 "매출의 구조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산업 정책과 구조조정 정책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