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물가 안정' 어느나라 이야기인가요
입력 : 2023-12-19 오후 5:09:02
며칠 전 마트에서 장을 볼 때의 일입니다. 불고기 전골을 만들어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레토르트 상품을 고르고 있었습니다. 포장지에 먹음직스러운 전골이 손길을 잡아끌었지만, 이내 생각보다 비싼 가격에 망설여졌습니다. 
 
결국 장바구니에 담긴 했으나 이 상품이 이 정도 비용을 지불할 만큼 괜찮은지는 확신이 들지 않았습니다. 2~3년 전에는 분명 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했던 기억이 나기 때문입니다.
 
다소 찝찝한 기분을 안고 군것질 코너로 걸음을 옮깁니다. 평소 즐겨 먹던 과자를 아무런 고민 없이 집어들었습니다. 그런데 미묘하게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확인을 해볼까 싶었지만 기분만 더 나빠질 것 같아 바로 장바구니에 넣었습니다.
 
물가 상승 체감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난방비 절약을 위해 분명 최소한의 난방을 유지하고 있는데 지난해와 비교하면 눈이 번쩍 뜨일 정도의 금액이 청구됐습니다. 보일러를 펑펑 틀었다면 억울하지는 않을텐데 말입니다. 
 
정부는 연일 '물가를 잡고 민생을 안정시키겠다'고 말합니다. 통계만 봤을 때는 어느 정도 맞다고 풀이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당장 집 앞 마트에만 나가봐도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 하고 있다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이번 정부가 물가안정에 실패했다'고 쓴소리를 하기도 합니다. 
 
혹자는 세계경제 흐름이 둔화돼 국내 사정 역시 마찬가지일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그 말도 이해는 갑니다. 하지만 당장 널뛰는 에너지 비용에 냉골에서 지내는 국민들을 생각한다면 물가 안정이 시급한 것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근검절약 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다만 그것이 타의가 아닌 자의여야 합니다. 스스로 검소한 삶을 실천하고 싶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과 필요하지만 주머니 사정으로 지출을 포기하는 것은 엄연히 다릅니다.
 
정부는 'n만원 챌린지' 등으로 국민들에게 절약을 떠넘기지 말고 물가 안정을 책임져야 합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야채들. (샤진=뉴시스)
김유진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