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배덕훈 기자] 네이버(
NAVER(035420))와
카카오(035720) 등 양대 플랫폼은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다사다난'한
1년을 보냈습니다
. 혁신과 변화의 흐름 속에서 글로벌로 향하는 미래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사활을 걸었지만
, 그 희비는 엇갈립니다
.
네이버 사옥 (사진=뉴스토마토)
먼저 네이버는 지난 1월 북미 최대 개인 간 거래(C2C) 플랫폼 '포시마크' 인수를 마무리했습니다. 약 1조7000억원에 달하는 창사 이래 최대 '빅딜'로 당시 업계 안팎에서는 무리한 인수라는 비판이 이어졌는데요. 네이버는 이런 우려를 딛고 결과적으로 포시마크 편입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매출 호조 효과를 누렸습니다.
네이버는 또 지난 10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로부터 1억 달러(약 1350억원) 규모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에도 성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네이버는 내년부터 5년간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를 비롯한 5개 도시에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게 되는데요. 해외의 공공 디지털 서비스를 국내 기업이 구축부터 서비스까지 직접 운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네이버는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올 3분기 2조445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역대 분기 최대 기록을 세웠습니다. 네이버의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7조1336억원인데요. 사업 성장세와 호실적 등을 감안하면 4분기 실적에 따라 연 매출 '10조원 클럽'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지난 8월 콘퍼런스 '단 23'을 열고 초거대 AI LLM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네이버는 또 향후 먹거리 사업에도 진력하고 있습니다. 챗GPT가 몰고 온 글로벌 변화의 환경 속에서 AI(인공지능)를 향후 플래그십이자 신수종 사업으로 선정하고 시장 선점을 위해 팔을 걷어 붙인 것입니다.
네이버는 지난 8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고 자사 서비스에 접목하는 등 고도화에 나서는 한편, B2B(기업 간 거래) 수익 모델 발굴 등 사업다각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또한 두번째 자체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을 오픈하고 차세대 먹거리를 위한 인프라 확충도 마무리 지었습니다.
카카오 사옥 (사진=뉴스토마토)
반면, 카카오도 올해 초 '빅딜'을 성사시켜 주목받았지만, 결국 '승자의 저주'에 빠져 '창사 이래 최대 위기' 상황에 봉착했습니다. 카카오는 올해 1월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투자 받은 1조2000억원의 실탄을 바탕으로 SM엔터 인수에 성공했습니다. 웹툰·웹소설에 주요 아티스트의 IP를 접목해 글로벌 엔터사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였지만, 인수 과정에서 불거진 시세조종 의혹은 결국 경영진을 향한 '사법 리스크'로 화했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카카오는 일부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가 불거지고 경영진 비리·방만 경영 의혹 등 내홍까지 잇달아 발생하면서 존립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으로 치달았습니다. 정부의 칼끝 역시 카카오를 정조준했습니다. 카카오 택시의 수수료 등 독과점 이슈를 문제 삼아 강하게 압박을 이어간 것인데요. 윤석열 대통령은 "카카오의 택시에 대한 횡포는 매우 부도덕하다"라고 이례적으로 기업명까지 거론해 지적했습니다.
이 같은 위기 속 카카오의 성장 동력도 빛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사법 리스크' 탓에 카카오페이의 미국 종합증권사 시버트에 대한 경영권 인수가 무산되면서 카카오의 '비욘드 코리아' 전략에도 제동이 걸렸습니다. 또한 연내 공개가 예고됐던 최신 LLM '코지피티'는 발표 일정이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경영쇄신위원장 (사진=카카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는 결국 경영 일선에 등판하고 신뢰 회복을 위한 뼈를 깎는 쇄신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경영쇄신위원회'와 '준법과 신뢰위원회'를 신설하고 내외부 산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를 단독 대표로 내정하며 최고 경영진 교체라는 고강도 인적 쇄신에도 나섰는데요. 주요 공동체 대표의 임기가 내년 3~4월임을 감안하면 또 다른 인적 쇄신 칼바람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올 한해 빼놓을 수 없는 '가짜뉴스 논란'은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대다수의 국민들이 포털을 통해 언론 기사를 접한다는 점에서 정부와 정치권의 대(對)포털 공세는 지속됐는데요. 방송통신위원회는 특히 네이버가 뉴스 검색 순위 알고리즘을 의도적으로 조정했다는 의혹과 관련 사실조사도 벌였습니다.
연말에는 악재도 예고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가칭 '플랫폼 경쟁촉진법'을 통해 독점적 지위를 가진 플랫폼을 사전 지정·규제한다는 방침을 드러냈기 때문인데요. 대상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네이버 포털, 카카오의 카카오톡 등이 사전 지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배덕훈 기자 paladin70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