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유미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문제를 겪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가운데 금융기관들이 채권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은행권은 대출 대부분이 보증이나 담보 대출 등으로 이뤄진 만큼 워크아웃으로 인한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8일 태영건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기준 태영건설의 장·단기 차입금 총 2조1550억원 중 국내 은행권에서 빌린 금액은 총 7243억원입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PF 대출과 단기차입금 등을 포함해 산업은행이 2002억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KB국민은행 1600억원 △기업은행 997억원 △우리은행 720억원 △신한은행 636억원 △하나은행 619억원 순입니다.
산업은행은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소집하고, 경영정상화 계획 결의에 따라 지원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국민은행은 대출 자금 회수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PF 대출 997억원을 내준 기업은행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기업은행 PF대출은 태영건설 자회사에 대한 대출로 워크아웃 관련 채권은 아니며, 담보 대출 및 분양 완료 사업장 대출로 구성되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신한은행은 태영건설에 PF 대출 436억원과 단기차입금 200억원을 빌려줬는데요. 이와 관련해 "태영건설의 영업, 재무 현황을 비롯해 PF보증과 같은 우발채무가 주채무로 전이되는지 여부 등을 상세하게 모니터링하면서 지속 관리할 예정"이라며 "현재 각 사업장별 시공구조(공동) 등 상황별 시나리오 예측 및 분석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슈상황 발생시 차주사 등 관련인들과 수시 협의 및 모니터링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충당금 여파는 아직 산출하기 어렵지만 은행권은 보수적인 충당금 기조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회사가 워크아웃 신청 후 정말 부실화가 돼야 충당금 전입액을 환입하는데 현재 그 단계는 아니다"라며 "PF대출에 대해서만 개별로 충당금을 쌓지는 않지만 은행들이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은행권은 태영건설의 PF우발채무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말 기준 태영건설 관련 PF 사업장은 총 60개입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지난달 말 기준 PF우발채무가 3조5000억원에 이르는 데다 이중 미착공하거나 착공 후 분양전 사업장이 과반을 차지합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PF가 한두군데가 아니라 사업장 관련한 시행사부터 시작해 영향이 있을 전망"이라며 "금융기관들이 지금도 PF대출을 100% 보증은 안 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확실한 사업장 아니면 더 안 해주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PF사업자들은 사업 진행하기가 당분간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신유미 기자 yumix@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