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소희 기자] 정부의 대규모 할인지원 영향으로 사과·배 소매가격이 하락세로 접어들었지만 일시적 효과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팽배합니다. 더욱이 하락세라곤 하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고 배추·대파 등 노지채소 가격의 불안감도 씻을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사과 생육관리, 체리·키위·망고스킨 등 수입과일 대체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기후 위기 시대의 두더지 게임식 '과채류 파동'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사과(10개) 전국 평균 소매가격은 2만3776원입니다. 배(10개) 가격도 4만1594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사과 가격은 정부의 대규모 할인 지원으로 감소 추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일주일 전인 13일 기준 사과 가격은 3만105원을 기록했으나 점차 하락하면서 19일 2만3725원을 기록했습니다. 배 가격도 마찬가지입니다. 13일 기준 배 소매 평균가격은 4만3090원이었으나 19일엔 4만1486원으로 낮아졌습니다.
한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이날 농식품 비상수급안정 대책회의를 열고 "aT에서 추진 중인 과일 직수입 공급은 이달 중 바나나 1140톤, 오렌지 622톤을 수입, 20% 낮은 가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빠르면 내일부터 초도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3월 19일 서울 마포구 마포농수산물시장에 사과, 배 등 과일이 놓여있다. (사진=뉴시스)
정부의 할인 지원 등 정책으로 과일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비싼 데다, 최근에는 노지채소 수급의 불안정성까지 보이고 있어 과채류 물가 부담감은 고조될 전망입니다.
지난해 4분기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유지하던 겨울 노지채소(배추·무·양파·대파 등)는 잦은 강우로 2월부터 수확량이 감소하는 등 도매가 상승세로 전환됐습니다.
배추(10kg)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20일 기준 평균 1만4180원으로 조사됐습니다. 19일 기준으로는 평균 1만4000원이었습니다. 일주일 전인 13일까지만 해도 1만2960원이었으며, 1개월 전엔 9803원이었습니다. 한 달 만에 약 5000원이 오른 셈입니다.
물가 체감도가 높은 배추·대파는 1월 한파에 이어 2월 잦은 강우로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양파는 3월 하순부터 본격 출하되는 햇양파 수확을 앞두고 2023년산 재고 물량이 감소하는 등 일시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잦은 강우·일조량 부족, 지역적 강수 편차 등 강수의 불균형 등 기후변화로 인한 과채류 가격이 들썩이면서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 마련은 시급은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후 이상뿐만 아니라 고령화·농업인 감소 등도 향후 농산물 가격 상승을 넘어 식량 안보의 불안감까지 불러올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김상효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엔 사과가 물량 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했다면 내년엔 다른 품목이 공급 부족 사태가 올 수도 있다"며 "향후엔 공급 부족 현상이 품목을 달리하면서 반복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기후변화 시대에 익숙해져야 할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인력 문제 등도 존재하기 때문에 생산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을 분명하게 파악해 관리해야 한다"며 "식량 안보 관점에서 생산 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노력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한편,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소비자·외식 5개 단체장 등과 간담회를 열고 외식단체에 원가절감 등을 통한 가격 인상 요인을 흡수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소비자단체에는 적극적인 물가 감시를 요청했습니다.
지난 3월 1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채소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김소희 기자 shk3296@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