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원정기자] “조금 늦었다. 시민사회가 왜 이렇게 무기력하게 대응했나 반성도 들었다.”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을 놓고 언론시민사회가 고민에 빠졌다.
미미한 시청률 때문에 외면해온 종편이 이번 대선을 거치면서 선정적·정파적 방송으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언론시민사회는 당초 위법하게 출범한 종편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기조였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의 경우 2009년 7월 국회를 통과한 방송법 등이 원천무효이고 이에 근거한 종편의 존재를 인정할 수 없다며 ‘허가 취소’를 줄곧 주장해왔다.
개국 초기 종편의 미약한 시청률도 모니터를 불필요한 것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후 종편의 시청률은 지난해 대선을 거치면서 상승곡선을 탔고 종편의 선정성 문제가 덩달아 제기되자 마냥 무시하는 게 옳은지 문제 제기가 시작됐다.
지금은 이명박 정부 기간 현저히 힘이 빠진 지상파방송을 대체해 종편의 ‘악화가 양화를 구축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언론개혁시민연대(이하 언론연대)가 지난 21일 ‘종편 1년, 시민사회의 대응과 앞으로의 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좌담회는 출범 1년이 지난 종편의 현 위치를 진단하는 자리였지만 이전에 없던 정파적 방송을 대면한 당혹감이 묻어나는 시간이기도 했다.
패널들은 대처방안을 내놓으며 기존태도에 반성을 보탰다.
전규찬 언론연대 대표는 “종편의 문제는 이들의 실체를 정확히 간파하고 이들의 미래를 분명히 전망하며 이를 바탕으로 활동방향을 성실히 짜야 했던 우리의 무지, 무능, 무관심에 크게 기인한다”며 “종편에 대한 답은 의외로 우리에게 있다. 책임 있게, 현실조건에 기초해 이야기하고 답을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정주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소장은 “그동안 무시로 일관한 시민사회단체의 종편에 대한 대응 수정이 필요하다”며 “편성,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하면서 재허가시 한 채널이라도 허가 취소 받도록 적극적 감시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는 “종편 출범 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종편에 대한 시민사회 대응은 별다른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며 그 이유는 “지난 1년간 공영방송 파업이 이어지는 등 방송환경이 언론단체와 시민사회가 종편에 신경을 쓸 겨를이 없을 정도로 황폐화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종편에 대한 시민사회 대응은 일차적으로 종편 취소를 목표로 해야 하고 물리적으로 허가 취소가 불가능하다면 종편이 퇴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의무재전송, 차별적 광고정책 등 종편이 누리고 있는 각종 특혜를 없애고 지상파방송과 동일한 규제로 관리 받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밝혔다.
<사진 제공: 언론노조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