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기종기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제조강국들이 제조업 분야 부흥정책에 나서고 있어 한국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은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의 진행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제조업 부흥을 위한 정책 보강에 힘을 싣고 있어, 국내 제조업의 설 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시장 속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제조업 활성화 정책이 속도를 내야한다는 분석이다.
최근 미국과 독일, 일본, 중국 등은 제조업 부흥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제조혁신 가속화를 위한 '신행정 행동계획'을 수립했고, 독일은 지난 4월 '인더스트리 4.0' 전략을 정부 주도로 변경했다.
인접국가인 일본도 올해 6월 기존 일본 재흥전략을 미래 투자 및 생산성 혁명에 초점을 맞춰 개정했으며, 중국 역시 지난 5월 '2025년 세계 제조업 2강 대열 진입'을 목표로 한 '중국제조 2025'를 수립했다. 제조업에 힘을 실어 다시 한 번 르네상스를 맞이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최근들어 제조업 분야의 실적 회복 조짐이 나타나면서 '제조업 르네상스의 여명기'를 거치고 있다는 평가다. 본격적인 성장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겠지만 제조업 부흥의 핵심 지표인 일자리 증대와 고부가화, 첨단기술 등이 차츰 살아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먼저, 투입 지표상에서 고정자산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지난 2010~2013년 미국의 민간 총 투자액 증감률은 2005년~2008년 대비 9.1%가 감소했지만, 제조업은 9.0% 증가했다. 같은 기간 R&D 투자도 18.8%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확대 중이다.
미국 정부 역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5년동안 R&D 투자액을 2004~2008년에 비해 10.4% 늘리는 동안 산업 제품 및 제조공정 기술 투자는 43.3%나 확대하는 등 이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성과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 제조업체 수는 지난 2013년 3분기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비록 글로벌 금융 위기 이전인 36만여개에는 못 미치지만 지난해 말 약 34만개까지 회복하며 업황이 살아나는 중이다.
해당 분야 고용도 증가했다. 2010년 10월 증가세로 전환한 미국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 5월 1231만명까지 확대되며 금융 위기 이전인 2008년의 월평균 1350만명에 100만여명 차까지 격차를 줄였다.
또 컴퓨터와 전자제품, 운송장비 등 내구재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역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평균 97.1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108.3으로 10점 이상 증가했다. 연평균 성장률도 1.6%에서 2.8%로 높아졌다.
이처럼 부흥정책에 힘을 받은 미국 제조업이 살아날수록 국내 제조업의 입지가 좁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때문에 정부가 추진 중인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가속화하고 경쟁력을 조속히 확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를 위해 R&D를 비롯한 제조업 투자 확대와 창업 및 신제품 시장 진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장 여건 조성, 규제 개혁 등의 적극적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 제조업 기술력과 사업 플랫폼 기반을 조속히 확충하기 위해 신흥국 시장을 목표로 제품을 개발, 경쟁 기반 확보 후 선진국에 진출하는 ‘역혁신 전략’도 또 다른 방안이다.
이밖에 ▲조속한 기술 확보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M&A ▲현지 업체와의 제휴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혁신’ ▲물량 투입에 의한 기술 확보형 R&D ▲수요 지향형 R&D 등도 수반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 핵심 정책 대상 중 하나인 첨단제조기술 분야의 성과 창출은 2~3년내 가시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독일과 일본, 중국 등에서 고부가·첨단화하는 제조업 혁신 정책이 집중되고 있어 머지않아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에 커다란 이동이 예상된다"며 "우리나라가 제조업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길지 않다"고 전망했다.
포드 자동차 생산직 직원이 미국 미주리주 클레이코모에 있는 캔자스시티 조립공장에서 신형 포드 F150 트럭의 차체를 조사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