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해곤 기자] 정부가 아시아 신흥국들과 교역을 강화하는 신남방정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와 각각 구체적인 경제 협력방안을 마련하고,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에 합의했다. 인도와는 추가 시장 개방에 적극 나서는 등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돌입했다.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5일 싱가포르 선텍(SUNTEC)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제21차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세안 회원국 정상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이 13~14일 신남방을 대표하는 3국 통상장관들과 릴레이 면담을 갖고 이 같은 결과를 내놨다고 15일 밝혔다. 정부는 미·중 무역분쟁의 리스크에서 벗어나 신흥국으로 눈을 돌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신남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아세안과의 교역 규모를 2000억달러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아직 기반 시설이 부족한 신흥국을 대상으로 '다자' 보다는 속도감 있게 추진이 가능한 '양자'에 무게 중심을 두고 '맞춤형' 공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 본부장은 "일본은 아세안과 FTA를 체결하면서도 아세안 10개국 중 7개 국가와 양자 FTA도 갖고 있어 아세안 시장을 '각개격파'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베트남, 싱가포르 2개 국가와만 양자 FTA를 체결하고 있어 아세안 시장 진출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아시아 최대 산유국으로 광물자원이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와 철강 등 산업을 전략적으로 키우고 있다. 이에 철강생산을 위한 포스코, 석유화학 기업인 롯데케미칼 등이 현지에 진출해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FTA 추진과 별도로 양국 통상 장관이 주재하는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해 양국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추가로 발굴하기로 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우리 기업을 위해 한국 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후보 지역에 대한 입지여건과 우리 기업들의 진출 수요를 파악할 예정이다.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와도 장관급 비즈니스 포럼을 정례화하고 양국 기업 간 교류 활성화를 추진한다. 국가 주도 프로젝트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늘려 나가기로 했다. 또 보다 구체적인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양국 산업부 간 '한·말레이시아 공동실무 협의회'를 조속히 개최키로 했다. 김 본부장은 "지난 5월 출범한 마하티르 정부는 동아시아 지역과의 기술교류, 산업협력을 확대하겠다는 동방정책2.0을 추진 중이며, 특히 한국과의 협력을 중요시하고 있다"면서 "공동실무 협의회를 통해 말레이시아 팜오일 산업과 한국 화장품 등 뷰티산업 간 협력, 전기요금 인하 등의 우리기업에 대한 지원책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CEPA 협정이 발효된 인도와는 추가 개선협상 논의를 통해 시장을 더욱 넓힐 예정이다. 김 본부장은 "CEPA에서 68% 관세철폐를 확보했지만 나중에 한 일본은 86% 관세철폐를 했다. 이런 부분들을 대폭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7월 열린 한·인도 정상회의에서 논의됐던 한국기업 전용공단 설치, 인천-첸나이 직항편 운항 등 협력사업도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세종=이해곤 기자 pinvol197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