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한국판 실리콘밸리' 만든다
제3판교 테크노밸리…첨단산업 중심
김동연 "글로벌 기업 유치·스타트업 천국"
2024-01-31 15:38:04 2024-01-31 17:44:16
 
 
[뉴스토마토 박한솔 기자] IT 기업의 성지로 불리는 성남시 판교가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발돋움할 전망입니다. 경기도와 경기주택도시공사가 새롭게 들어설 제3판교 테크노밸리를 통해 판교를 첨단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할 계획을 세웠기 때문입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31일 성남 판교글로벌비즈센터에서 내년에 착공될 예정인 제3판교 테크노밸리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
 
경기도 '직(職)-주(住)-락(樂)-학(學)' 조성
 
제3판교 테크노밸리는 2021년 첫 삽을 뜬 '성남금토 공공주택지구' 내 자족용지에 위치합니다. 약 7만3000 ㎡의 부지에 연면적 50만㎡ 규모로 사업비는 1조7000억원이 투입됩니다. 민과 통합지식산업센터로서, 2025년에 착공해 2029년 준공될 예정입니다.
 
제3판교테크노밸리 조감도. (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경기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산업과 각종 혁신 심장의 판교 꿈을 실천하겠다"면서 "1000세대의거주 공간을 만들고, 들어오는 모든 시설이 탄소중립을 지키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모범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제1·2판교 테크노밸리의 연매출액은 약 170조원으로 인천과 부산시의 GRDP 104조원을 크게 웃도는 R&D 특구입니다. 그러나 업무공간 수요가 계속 늘고, 도시활력시설이 부족해 주말과 야간 공동화 현상이 일고, 사회초년생의 직주근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경기도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3판교 테크노밸리를 '직(職)-주(住)-락(樂)-학(學)'으로 조성키로 했습니다. 사는 곳에서 일하고 즐기고 배울 수 있다는 의미를 가졌습니다.
 
제3판교 테크노밸리에는 글로벌 기업을 유치할 환경을 조성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연구소 공간, 팹리스 시스템반도체, 인공지능, 바이오 등 참단 산업을 집적할 방침입니다. 또 김 지사가 추진 중인 판교+20 프로젝트도 구체화 될 계획입니다.
 
판교, 민·관 통합지식산업센터로 조성
 
김 지사는 최근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판교+20 프로젝트'계획을 밝힌 바 있는데, 경기도 20개 이상 지역거점에 창업공간을 조성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와 함께 공공기숙사 1000호도 공급됩니다. 도는 기숙사 공급을 위한 용적률을 상향하기 위해 성남시의회와 경기주택도시공사와 협력해 지난해 성남 도시계획조례 개정도 완료한 상태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첨단학과 대학교 유치입니다. 제3판교에 대학이 들어설 경우 안정적으로 인재를 확보할 수 있고, 기존 근로자도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재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이 들어서게 될 공간은 약 5만㎡로 이르면 2월 중 공모절차에 들어가 빠르면 상반기 중 선정될 예정입니다.
 
김 지사는 "2주 전 스위스 다보스포럼에 가서 전 세계 정치, 경제 지도자들과 많은 얘기를 나눴는데, 세상은 너무나 빠르게 변하고 있다"면서 "이런 세계 흐름과 변화의 조류 속에서 대한민국은 엉뚱한 것으로 싸우는 판국이지만, 경기도는 판교와 성남을 중심으로 세계 변화에 다르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31일 오전 판교 글로벌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제3판교 테크노밸리 사업계획 발표 및 소통간담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국회의원, 기업인, 창업인 교직원, 청년, 대학생 등 약 40여명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성남=박한솔 기자 hs6966@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