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중간점검)①석탄만 아니면 된다? 화석연료 못 버린 금융권
5대 금융, 2050년 목표 '탄소제로' 선언
투자제한 정책 도입 소극적 지적
2024-06-28 06:00:00 2024-06-28 10:41:54
 
[뉴스토마토 이종용 선임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운데 'E(환경)'가 금융사의 핵심 경영지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은행과 보험, 카드, 저축은행 등 금융사들은 탄소제로를 중장기적 경영목표로 내걸고 있습니다. 석탄 채굴이나 발전소 건설에 대한 신규 지원을 줄이겠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석탄 외 화석연료 전체에 대한 투자 제한 정책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습니다. 
 
석탄산업 지원 근절 일색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사는 지난 2020년부터 석탈발전 투자 중단을 선언했고, 적도원칙에 가입해 환경·사회리스크 검토 프로세스 구축하고 있습니다. 적도원칙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있어서 원칙으로 대형 개발사업이 환경파괴 또는 인권침해의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대출을 하지 않겠다는 금융사들의 자발적 행동협약입니다.
 
KB금융지주는 2020년 국내 금융권 최초로 전 계열사가 참여하는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습니다. 국내외 석탄 채굴 및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과 관련된 신규 PF·채권 인수 사업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KB국민은행은 그룹 탈석탄 정책에 발맞춰 석탄 관련 대출 및 투자를 제한하는 정책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KB금융(105560)의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모범 규준'에는 환경·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심대한 활동 또는 업종에 대한 금융지원을 배제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불법 아동 노동을 포함하거나 불법적인 도박·포르노 사업을 비롯해 석탄 채굴 사업 지원 또는 확장, 석탄 발전소 건설 또는 증축 등이 금융지원 배제 대상입니다.
 
신한금융지주(신한지주(055550))는 주력사인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탈석탄 금융에 나서고 있습니다. 신한금융은 국내외 석탄 발전소 건설을 위한 PF와 참여하지 않고, 석탄 발전소 건설을 위한 특수목적회사(SPC)에서 발행하는 채권을 인수하지 않겠다고 투자 제한 정책을 마련한 상태입니다.
 
우리금융지주(316140)의 경우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적도원칙에 기반해 환경·사회 리스크를 심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석탄 관련 자산도 리파이낸싱 차원에서 회수하겠다고 공언한 것은 전향적인 부분입니다.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에서는 '배제영역', '주의영역'을 구분해 금융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합니다. 신규 석탄 채굴 사업을 개발·확장하거나 신규 석탄 채굴 사업을 지원하는 행위, 신규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증축하거나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을 지원하는 행위 등 배제 및 주의 영역으로 선정한 상태입니다.
 
다만 금융지주사별 투자 정책을 들여다보면 석탄 외에 다른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 제한정책 도입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투자 중단' 명시 안하기도
 
하나금융지주(086790)의 경우 지난 2021년 탄소중립 및 탈석탄 선언을 통해 반(反)환경 사업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했습니다. 2050년까지 그룹 사업장 탄소 배출량 'ZERO'와 석탄 프로젝트금융 'ZERO'를 이행하기 위한 'ZERO & ZERO'를 목표로 수립했습니다. 
 
하나금융은 ESG 제한업종과 ESG 유의업종을 구분해 신규 여신 심사에 반영하고 평판 리스크가 높은 기업의 여신은 배제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와 연계된 석탄, 석유채굴 및 석탄화력 등의 산업을 중심으로 ESG 제한업종을, 그 외의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 및 에너지 집약도가 높은 산업을 ESG 유의업종으로 선정해 신규 여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NH농협금융 역시 2021년 2월 탈석탄금융을 선언했으며, 이후 국내외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참여하지 않고 있습니다. 농협금융은 산업별 투자한도가 존재하지만 아직 화석연료 산업을 겨냥한 특별한 취급 정책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산업별 ESG 영향도를 긍정과 중립, 부정으로 구분하고 산업별 익스포저 한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농협금융이 정의하는 ESG 긍정 산업은 곡물 및 기타 식량작물 재배업, 채소작물 재배업, 작물재배 지원 서비스업 등으로 그룹 여유 한도를 추가 부여하고 있습니다. ESG 부정 산업은 모피제품 제조업, 핸드백 및 지갑 제조업, 산업용 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제조업 등 10개 업종으로 전결 기준을 강화해 우대금리를 제한하거나 기존 한도를 감액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들 금융지주는 고탄소 업종 등을 분류하고 여신 심사 단계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명시적으로 '투자 제한'으로 못 박지는 않았습니다. 국내 비영리 기후단체 플랜1.5 관계자는 "금융지주사 전반적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계획에 대한 정보 공개가 매우 부족하고 기후정책 이행은 초보적 수준"이라고 지적하며 "투자목표이행계획, 기후금융상품 투자현황까지 보다 세밀한 공시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2050년 탄소제로를 목표로 내세우며 석탄 관련 채권이나 PF 참여를 중단하기로 했다. 지난 2022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정문 앞에서 환경 시민단체 회원들이 석탄 발전소 중단 요구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종용 선임기자 y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