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각 시·도 '일자리청' 설치" 성장정책 발표
"일자리 만들어야 성장이 된다..패러다임 바꿔야"
2012-11-08 14:03:29 2012-11-08 14:05:06
[뉴스토마토 박수현기자]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8일 "성장만 하면 일자리가 저절로 생긴다고 생각하던 데서, 이제 일자리를 만들어야 성장이 된다고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이날 제주시 영평동 'Daum' 본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며 '사람경제'와 일자리를 통한 성장 정책을 발표했다.
 
문 후보는 "저의 경제철학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사람경제'"라면서 "사람경제는 성장의 원동력을 사람에서 찾고, 일자리를 통해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을 동시에 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저임금 등 일자리 최소기준을 보장하는 경제, 또한 창조적 재능과 기술력을 엮은 제2의 IT 열풍을 선도하는 경제"라면서 "남북한을 포함한 동북아 평화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경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무엇보다 저는 시장에만 일자리를 맡겨두지 않겠다"면서 "위기의 시대에 언젠가는 확보해야 할 공공 일자리를 선제적으로 늘리면, 국민의 체감복지를 높이면서 소득과 소비증대를 통해 극도로 침체된 내수 경기를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이 되면 직접 국가일자리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아서 일자리정책을 챙기겠다"면서 "고용노동부를 개편하여 각 시·도마다 정부의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연계하여 집행하는 '일자리청'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정부의 예산수립 과정에서 '일자리영향평가'를 의무화 하겠다"면서 "50조원에 달하는 정부조달 사업의 우선권을 일자리 많이 만드는 기업에 주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면서 "토건사업으로는 이제 일자리를 늘리기 어렵다"면서 "지방정부가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얼마나 많이 만들었는지를 기준으로 지원에 차등을 두겠다"고 덧붙였다.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기업지원 정책 방안으로는 ▲3단계 중소기업 지원전략을 통한 중견기업 4000개 육성 ▲창조적인 혁신기업 지원 ▲지역 산업 육성 등을 내놨다.
 
일자리 나누기 및 평생학습과 관련해선 ▲근로시간 단축 ▲법정 정년 60세로 연장 ▲조기퇴직자·정년퇴직자들 '전담조직' 설치 등을 언급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