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장 이슈] 코스닥 , 지난해 세계 주요 신시장 中 2위
스탁론으로 투자 전략 짜볼까?
2016-01-18 10:50:00 2016-01-18 10:50:00
 지난해 코스닥지수 상승률이 세계 주요 신시장 중 두 번째로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는 지난해 대내외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도 정부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강화와 신규상장 증가에 따른 시장 활성화, 제약•바이오 업종 강세 등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코스닥시장 제약•바이오, 소비재 관련 업종•종목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상승률 300% 이상 종목은 2014년(8개)보다 4배가량 많은 30개를 기록했다. 지난해 코스닥시장에서 소비재(섬유의류)업종은 90.29%, 제약업종은 73.1%, 의료정밀기기업종은 46.1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세계 주요 신시장 중 지수 상승률 1위는 중국판 나스닥인 창업판(Chi-Next)이 차지했다. 2014년말 1471.76포인트에서 지난해말 2714.05포인트로 84.4%의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의 코스닥에 해당하는 일본의 자스닥(Jasdaq)과 영국의 AIM은 각각 14.4%, 2.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코스닥시장은 시가총액 상승률도 신시장 중 2위를 기록했다.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은 2014년말 1179억2300만달러에서 지난해말 1661억7000만달러로 40.9% 증가했다. 이는 시가총액이 155.9% 증가한 중국의 Chi-Next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이다. 시총 규모는 신시장 중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시가총액 규모 1위는
 
미국 나스닥(Nasdaq)으로 7조9024억9100만달러, 2위는 중국 Chi-Next 8387억4300만달러였다.
 
코스닥시장은 신규 상장수에서도 세계 주요 신시장 중 미국 나스닥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수는 122개사였다. 미국 나스닥에는 275개사가 신규 상장됐다. 중국 심천과 캐나다 TSX-V는 각각 86개사, 84개사가 신규 상장됐다.
 
 
한편, 지난해 세계 주요 신시장은 메인시장에 비해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유망 중소형주에 대한 관심 증가와 IT, 바이오 업종의 성장 등에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다우지수가 2.2% 하락한 반면 나스닥은 5.7% 상승했고, 중국도 상해종합지수가 9.4% 올랐지만 Chi-Next는 84.4%로 큰 폭 상승했다.
 
 
코스닥 역시 지수 상승률 25.7%로 메인시장인 코스피시장 지수 상승률 2.4%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코스닥시장 주도업종은 IT와 대기업 관련주에서 바이오와 인터넷 등 기술성과 성장성이 높은 업종 위주로 변화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시총 상위 20개사 중 제약•바이오 관련 기업은 9개사로, 시총 상위 20개사 중 45%를 차지했다.
 
▶업계 최고 상품 토마토스탁론 바로가기
 
☞ 토마토스탁론, 이용중인 증권사 그대로, 최저 연3.1%, 본인자금포함 최대4배
 
☎ 1644-8944
 
 
토마토 스탁론이란 ? ( 연계 신용대출 )
 
▶ 증권사 변경 없이/신규 계좌 개설 없이 기존 그대로 이용 가능
▶ 금리 최저 연3.1%
▶ 한 종목 100% 집중투자 가능
▶ 본인자금 포함 4배, 최고 3억원, 최장 5년(6개월 단위 연장)
▶ 연장수수료 및 중도상환수수료 無
▶ 보유종목 매도 없이 미수/신용 대환가능
▶ ETF(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KODEX 200)포함 1,500여개 종목 매매가능
▶ 위험관리시스템을 통한 안정적인 투자 관리
▶ 주식매입자금대출 / 주식담보대출 / 주식자금대출
 
 
 
등락률 상위 50종목 ( 오전 10시 50분 기준 )
진흥기업우B(002785),진흥기업2우B(002787),동아원(008040),#썬코어,시노펙스(025320),#세븐스타웍스,진흥기업(002780),필룩스(033180),웰크론한텍(076080),#바이오로그디바이스,한국맥널티(222980),태양기전(072520),한일진공(123840),더존비즈온(012510),메디아나(041920),현대건설우(000725),피엘에이(082390),동양철관(008970),아이진(185490),한양이엔지(045100),한양이엔지(045100),쿠쿠전자(192400),세종텔레콤(036630),에코플라스틱(038110),3S(060310),하이골드2호(139200),신한(005450) 인버스 브렌트원,웰크론강원(114190),하이골드12호(172580),에스티큐브(052020),씨티씨바이오(060590),에스코넥(096630),대봉엘에스(078140),영보화학(014440),핫텍(015540),태영건설우(009415),태양금속우(004105),삼양사(145990),AP시스템(054620),삼성정밀화학(004000),#에스아이티글로벌,윌비스(008600),웰크론(065950),루미마이크로(082800),멕아이씨에스(058110),하이셈(200470),케이씨에스(115500),제이엔케이히터(126880),이상네트웍스(080010),셀트리온(068270)
 
 
· 이 기사는 인포머셜입니다. 인포머셜(Informercial)은 인포메이션(Information)과 커머셜(Commercial)의 합성어로 스폰서가 제공하는 정보로 꾸며진 상업성 콘텐트입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