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2016 이통3사 결산)미디어 공룡 탄생 '무산'…5G·IoT로 미래 준비
수익성 한계 여전…단통법 논란도 '진행형'
2016-12-19 18:14:09 2016-12-19 18:21:23
[뉴스토마토 박현준기자] 2016년은 이동통신 3사에게 고민과 희망을 함께 안겼다. 시장이 정체되면서 대표 수익성 지표인 무선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소비자들은 가성비가 높은 중저가 스마트폰을 찾았다. 동시에 미래로의 길도 열었다. 5세대(5G) 통신 시장 선점에 나섰고,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선보이며 2017년을 IoT 원년으로 삼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SK텔레콤·CJ헬로비전 합병 무산 
올해 이통업계와 방송업계를 통틀어 가장 큰 이슈는 SK텔레콤(017670)CJ헬로비전(037560)의 합병 무산이다. SK텔레콤은 인터넷(IP)TV와 초고속인터넷 상품을 갖춘 자회사 SK브로드밴드에 케이블방송 1위 CJ헬로비전을 더해 거대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로의 전환을 꾀했다. 하지만 KT(030200)LG유플러스(032640)가 강력 반대에 나섰고, 거대 미디어의 등장을 꺼린 지상파 방송사들의 견제가 더해지면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7월 합병 불허 결정을 내렸다. 타격은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 합병 준비 과정에서 영업 및 투자활동이 위축된 탓이다. CJ헬로비전은 3분기 영업이익이 2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 급감했다. 양사는 그럼에도 추가 인수합병(M&A) 가능성은 열어놓고 있다. SK텔레콤은 정체된 무선통신 사업을, CJ헬로비전은 IPTV에 잠식 중인 케이블TV 사업을 대체할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 구축이 절실하다. 
 
데이터 사용량 늘어도 ARPU '뚝뚝'…수익성 '고민'
이통사들은 ARPU 감소에 시름이 깊다. SK텔레콤의 ARPU는 지난해 3분기 3만6226원을 기록한 이후 올 3분기(3만5471원)까지 4분기 연속 하락세다. KT는 3분기 ARPU가 3만6298원으로 SK텔레콤보다 앞섰지만 최근 1년간 ARPU가 등락을 거듭하면서 상승세를 그리지 못하고 있다. LG유플러스의 3분기 ARPU도 3만5845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4% 감소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전체 무선 가입자 중 LTE 가입자 비중이 3분기 87%에 달해 3사 중 가장 높은 점도 고민이다. LTE 가입자 비중이 높을수록 ARPU도 올라가기 마련인데, LTE 가입자 비중이 이미 90%에 육박해 향후 상승 동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5G 선점 경쟁
이통사들은 LTE를 이을 5G 선점 경쟁에 돌입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무선 공식파트너인 KT는 올림픽에서 선보일 5G 시범 서비스 준비에 한창이다. 지난 6월에는 평창올림픽에서 선보일 5G 서비스의 표준격인 '평창 5G 규격'을 공개했으며, 평창 알펜시아 스키 점프대에 ‘평창 5G 센터’를 열었다. 이곳은 5G 기술을 연구하고 실증하는 역할을 한다. KT는 내년 9월까지 5G 시범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이달초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전문 벤처기업 3곳과 5G 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또 15개 글로벌 통신·장비사와 구성한 ‘5G 글로벌 협력체’가 제안한 5G 핵심 표준안이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기구(3GPP)에서 채택됐다.
 
IoT 서비스 원년 채비
IoT 서비스들의 출시가 시작된 한 해였다. LG유플러스는 11월 기준 가정용 IoT 제품인 홈IoT의 가입자가 50만가구를 넘어섰다. 내년에는 100만 가구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와 손잡고 NB-IoT(협대역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에도 나서고 있다. 양사는 칩셋·모듈 등 10만여개의 IoT 핵심 제품을 파트너사들에게 지원하고, ICT 업체에 기술 및 장비 개발 지원을 위한 오픈랩도 구축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IoT 전용망인 로라의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IoT 서비스를 선보인다. 로라는 소용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적합한 망으로, 기존 통신망에 비해 저렴한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이 장점이다. 
 
끝나지 않은 '지원금 상한제' 논쟁
2014년 10월 시행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의 개정안 발의는 시행 2년이 지난 올해도 이어졌다. 특히 이통사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33만원으로 제한하는 지원금 상한제 논쟁이 연중 계속됐다. 이통사의 마케팅비를 줄여 소비자 혜택을 늘린다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결과적으로는 실 구매가격만 올렸다는 지적이다. 지원금 상한제는 내년 10월 자동 폐기되는 일몰조항이지만 조기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에 상정된 단통법 개정안 5건 중 3건이 지원금 상한제를 폐지하는 내용이다. 
 
박현준 기자 pama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