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홍 기자] KDB산업은행이 전 정권 때 창조경제 정책 일환으로 '한류 콘텐츠 펀드'를 추진했지만 펀드 만기 절반이 지나도록 투자 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서는 '정부 코드 맞추기'로 펀드를 급조하다, 정권이 바뀌면 사라지는 '전시성 정책금융'이 될까 우려하고 있다.
11일 IB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이 무한책임 집행사원(GP)으로 참여한 'KDB-KBS 문화융성펀드'는 처음 출범할 때보다 자산운용 규모가 대폭 줄었다.
산업은행과 KBS는 2016년 5월 정부의 창조경제 기조에 맞춰 한류 콘텐츠 산업에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지만 현재 펀드에 조성된 금액은 600억원 남짓이다. 기존 투자금에서 40%가 축소된 셈이다. 일부 전자상거래 대기업이 400억원을 투자하려고 했지만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해 뒤늦게 발을 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펀드 만기(5년)의 절반이 다되가도록 투자집행 실적도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약 2년 반동안 펀드 조성액 600억원 중 약 14%(86억원)만 투자됐다. 투자된 곳은 드라마 2건, 애니메이션 1건, 영화 8건으로 총 11건에 불과하다. 이중 몇 곳은 적자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콘텐츠 관련 펀드는 일반 제조업과는 달리 미래수익만 보고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리스크가 높다. 이 때문에 산업은행이 정부의 기조에 맞춰 보여주기식 정책금융을 진행하다 탈이 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IB업계 고위 관계자는 "당초 콘텐츠 관련 투자는 펀드 운용으로 그리 매력적이지 않은 분야인데 정부의 '콘텐츠 경쟁력 강화'라는 취지 때문에 진행됐다"며 "그래도 GP(산업은행)가 부단한 노력을 통해 콘텐츠의 미래사업 수익성을 판단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통상 영화 투자금은 수백억원인데 해당 펀드는 4억~5억원 투자에 그친다"며 "처음부터 규모가 너무 적은 사업이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관치펀드는 정부의 입김에 따라 좌지우지되기 때문에 실효성 없는 '전시성 정책금융'이 될 공산이 크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펀드부터 기업구조조정까지 금융시장에서 정부의 개입은 최소화돼야 한다"며 "금융 시장발전을 위해서는 일회성 정책금융이 아니라 일관된 금융지원으로 지속적으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정책금융이 돼야한다"고 지적했다.
최홍 기자 g243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