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대표 축구팀이 홈에서 치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1승 3무를 기록했습니다. ‘아시아 최강’을 자처하는 한국이 홈에서 치른 아쉬운 성적표입니다. 일각에서 한국 경기장 그라운드의 열악한 잔디 문제를 거론하는데, 상대팀도 같은 환경에서 공을 차는 만큼 잔디 탓으로는 해명이 안 됩니다.
지난 25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B조 8차전 대한민국과 요르단의 경기, 1-1로 무승부를 거둔 대한민국 선수들이 관중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홍명보 한국 축구국가대표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이 지난 25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의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B조 8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오만을 상대로 치른 7차전에서 1-1로 비긴 홍명보호는 홈 2연전에서 승점 2점만 획득하는 데 그쳤습니다.
아쉬운 점은 원정에서보다 홈 경기 성적이 안 좋다는 점입니다. 한국은 그간 원정에서 3승 1무를 거뒀습니다. 반면, 홈에서는 1승 3무에 그쳤습니다. 문제는 아쉬운 경기력에 대해서 홍 감독도 이유를 모르겠다고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경쟁 팀들보다 더 좋은 전력을 갖췄다는 것을 고려하면 더욱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홍 감독은 “홈에서는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뭐라고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겠다. 선수들이 홈에서 경기할 때 부담을 많이 갖고, 분위기 자체가 우리가 집중할 수 없는 것들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이 있다. 뭐 때문에 정확히 이기지 못했다고 (요인을) 찾지는 못했다. 컨디션 문제도 있을 것이다. 그런 부분을 앞으로도 계속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대표팀을 상대로 밀집 수비를 하는 상대 팀들의 구조를 깨뜨리는 문제는 여전한 과제로 남았습니다. 홍명보호는 그간 상대가 극단적으로 수비에 집중하면, 이를 뚫지 못했습니다. 볼을 오래 소유하고, 의미없는 U자 빌드업으로 자연스레 경기가 답답해지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면, 월드컵 예선 진출도 장담하지 못합니다.
일각에서는 한국 경기장 그라운드의 잔디 문제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팀도 마찬가지로 그 열악한 잔디에서 똑같이 공을 찹니다. 더구나 이번 요르단전이 열린 수원 월드컵 경기장은 겨울철치고 잔디가 잘 관리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더 이상 잔디 탓으로 경기 결과를 따지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