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과거 사스나 메르스 등 유행성 감염병이 '서비스' 업종에 피해가 집중되는 특정을 보였던 만큼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지원도 피해부문을 집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정책 대응도 보편적 지원보다는 주요 피해 부문과 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의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그간 감염병 사례에서 업종별 피해 정도가 음식숙박, 운수, 유통에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사진/뉴시스
22일 산업연구원의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그간 감염병 사례에서 업종별 피해 정도가 음식숙박, 운수, 유통에 집중됐으며 제조업보다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타격이 컸다고 설명했다.
사스의 경우 중국, 홍콩, 대만 3국이 큰 타격을 입었는데 음식숙박업에서 3국 평균으로 분기 성장률을 20%포인트 이상 떨어뜨렸다. 가장 충격이 컸던 홍콩은 최대 하락폭이 30%포인트에 달한다. 한국의 메르스 경우도 음식숙박업이 큰 타격을 입혀 성장률을 2.4%포인트를 낮춘바 있다.
연구원은 충격의 특성상 코로나19의 주요 피해업종도 과거 사례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했다. 충격 크기는 현재까지 나타난 확산 정도만 고려하더라도 최소 사스 3국 사례에 준하는 단기 충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것이다.
다만 사스나 메르스가 세계적 확산이 아닌 국지적 발병에 그쳤고, 지속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코로나19는 상황의 지속성이 변수가 될 것을 봤다. 특히 코로나19가 전세계적 확산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수출과 제조업에도 상당한 영향이 예상돼 과거사례보다 피해업종의 범위가 더 넓을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그럼에도 음식숙박, 관광레저 등 일부 서비스 업종이 최대 피해업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강두용 산업연 선임연구위원은 "질병의 확산 억제를 위한 노력에 자원배분의 최우선 순위를 둬야 한다"며 "충격의 특성상 업종별 부문별로 피해 정도의 편차가 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재난 기본소득과 같은 보편적 지원보다는 주요 피해업종과 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산업연은 실물경제 관련 정책으로 경기침체로의 전이를 막기 위한 총수요 부양, 피해업종 기업과 자영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 피해업종 종사자 및 취약계층에 대한 생계 지원의 세 가지 대응을 제언했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