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폐렴은 영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초기 증상이 발열, 오한, 기침, 가래 등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방치하기 쉽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급속하게 증상이 나빠지고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켜 노년층에서는 심하면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19년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2017년까지 4위에 머물렀던 폐렴은 뇌혈관질환을 제치고 암, 심장질환에 이어 전체 사망원인 3위를 차지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곰팡이 등에 의해 기관지 및 폐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질환이다. 폐 증상과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폐 증상으로는 호흡기계 자극에 의한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 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 숨 쉴 때 통증을 느낄 수 있다.
호흡기 외에도 소화기 증상, 즉 구역, 구토, 설사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열이나 오한을 호소하기도 한다.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폐렴의 경우 전형적인 폐렴 증상이 급성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발병이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양상을 띄거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병원 밖에서 감염된 노인성 폐렴 환자의 20%가 입원 당시 열이 없고 심지어 균이 혈액 속으로 침입해 들어가 균혈증이 동반됐는데도 열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발열 기전도 전신 상태가 양호해야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인성 폐렴에서는 폐렴의 특징적인 증상 없이 식욕부진, 전신무력감, 기력쇠퇴, 혼동, 헛소리, 가래 끓는 소리, 입술이나 손발이 파래지는 청색증, 손발이 차갑고 대소변을 못가리게 되는 등 막연하고 뚜렷하지 않은 증상이 몇 가지만 나타날 수도 있다.
최근 고령화의 영향으로 노년층에서의 폐렴은 늘어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폐렴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계속 줄어드는 반면 60세 이상 환자에서는 2016년 33만9134명에서 2년 뒤인 2019년 35만6149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폐렴은 면역력이 약한 노년층에서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한 성인은 폐 속 세균을 없애는 항생제를 투여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1~2주 안에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면역력이 낮은 어린이나 고령자, 당뇨병·천식·결핵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으면 폐렴이 쉽게 낫지 않는다. 또 다른 패혈증이나 쇼크, 폐농양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폐렴 초기에는 발열, 오한, 기침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감기로 오인해 방치하면 고열, 기침과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 심각한 증상으로 진행되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감기 증상이라고 생각되더라도 고열이 있고 기침, 누런 가래가 사흘 이상 지속된다면 폐렴을 의심해보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노인의 경우 이런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유 없이 기운이 없고 식욕이 떨어지거나 자꾸 졸려 하면 폐렴을 의심해 봐야 한다.
폐렴은 원인균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증상이 시작된 후 48시간 안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면 발열과 바이러스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세균성 폐렴은 항생제 요법을 통해서 치료한다. 항생제 외에도 건조하지 않도록 충분히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좋다. 기침이 심하면 기침 억제제를 사용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39℃ 이상인 경우 해열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폐렴은 중증도에 따라 외래치료 혹은 입원 치료를 하는데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고령자, 만성 폐질환자, 알코올 중독자, 암환자를 비롯해 심부전, 신부전, 호흡곤란, 빈호흡, 의식혼탁의 증상이 있거나 경구 약제를 복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폐렴은 가슴 X선 검사가 가장 기본이다. 원인균을 파악하려면 객담 검사, 혈액배양검사, 소변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한다. 추가적인 검사법으로는 가슴 전산화 단층촬영(CT) 및 기관지 내시경 검사 등이 있다. 이는 환자의 임상 상태를 고려해서 선택적으로 시행한다.
단, 가슴 X선 검사로는 코로나19에 의한 폐렴인지 일반적인 폐렴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여서 팬데믹 종식 전까지 폐렴 의심환자는 우선 코로나19 폐렴 환자에 준해 격리한다. 이후 PCR 검사에서 코로나19 음성으로 확인되면 격리를 해제한 뒤 폐렴에 대한 진단과 검사를 진행한다.
노인,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이라면 폐렴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 접종이다. 폐렴구균은 세포표면에 있는 피막 다당류의 화학적 구조 차이에 따라 혈청형이 구분되며, 현재까지 90여 개의 혈청형이 확인된다. 혈청형 특이 항체는 해당 혈청형의 감염에 대해 예방 효과가 있으며 백신 접종의 목적은 혈청형 특이 면역을 유도하는 것이다.
현재 성인에서는 23개 혈청형이 포함된 23가 다당류백신(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과 13개 혈청형이 포함된 13가 단백결합백신(protein conjugated vaccine, PCV13) 등 크게 두 가지 종류의 폐렴구균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폐렴을 예방하는 데는 단백결합백신인 13가 백신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어 만성질환자의 경우 두 가지를 모두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노년층에서는 폐렴구균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필요하다. 현재는 만 65세 이상이라면면 23가 백신을 무료 접종이 가능하다. 폐렴구균백신을 접종할 경우 만성질환자는 65~84%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회 접종만으로도 효과가 나타나므로 전문 의료진과 상의해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폐렴 등 호흡기질환 예방을 위해 평소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으로 신체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야외활동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한다. 손을 씻을 때에는 비누칠 후 적어도 30초 이상 구석구석 마찰하며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신경 써야 한다. 흡연은 폐의 방어능력을 떨어뜨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