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황준익 기자]
현대차(005380)그룹 판매의 중심축이 전기차로 완전히 옮겨진다. 현대차와
기아(000270)는 2030년까지 약 120조원을 투자해 글로벌 시장에서 30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판매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 24만대의 13배가량으로 현대차그룹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6%에서 2030년 12%로 상승한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 등 생산능력을 대폭 확대하고 글로벌 배터리 업체와의 협력으로 배터리도 안정적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2, 3일 각각 CEO 인베스터데이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전동화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현대차는 제네시스를 포함해 중장기 전기차 판매목표를 2026년 84만대, 2030년 187만대로 제시했다. 지난해 연간 14만대를 기록한 전기차 판매 규모를 5년 내 6배, 10년 내에 13배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 초반에서 2030년 7%까지 오른다.
현대차의 전기차 판매 비중도 지난해 4% 수준에서 2030년에는 36%로 뛴다. 현대차는 11개, 제네시스 6개 등 총 17개 이상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 중장기 전동화 전략.(그래픽=뉴스토마토)
기아는 올해 전기차 16만대를 시작으로 2026년 80만7000대, 2030년 120만대 판매를 목표로 잡았다. 2030년 기준으로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 당시 발표한 목표치(87만7000대)보다 약 36% 높아진 수치다.
기아는 내년 플래그십 모델인 EV9을 비롯해 2027년까지 매년 2종 이상의 전기차를 출시, 총 14종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6년까지 11개 차종을 출시하겠다는 기존 계획 대비 전기 픽업트럭, 신흥시장 전략형 전기 픽업트럭, 경제형(엔트리급) 전기차 3종이 추가됐다. 또 올해 고성능 전기차 EV6 GT 출시 후 향후 모든 전용 전기차에 GT 모델도 개발한다.
현대차와 기아를 합친 현대차그룹의 2030년 전기차 판매량은 307만대에 달한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471만7728대)의 65% 수준이다. 전기차 라인업도 31종 이상으로 늘어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업성차 업체 전기차 판매량은 테슬라가 92만대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상해기차(61만대), 폭스바겐(44만대), BYD(34만대), 현대차그룹(24만대)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이 테슬라와 경쟁하기 위해선 전기차 라인업 확대와 함께 배터리 물량 확보가 필수다. 현대차가 2030년 전기차 187만대를 판매하기 위해선 170GWh 규모의 배터리를 확보가 필요하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회사와 제휴를 맺어 배터리 현지 조달을 추진한다. LG에너지솔루션과의 인도네시아 합작공장이 그 시작이다.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2일 온라인 채널을 통해 열린 ‘2022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현대차의 중장기 전동화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현대차)
현대차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에 베터리셀 합작공장을 설립해 2024년부터 전기차 연간 15만대에 적용할 수 있는 10GWh 규모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다. 앞으로 배터리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2025년 이후 적용 예정인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의 50%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뿐만 아니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배터리 제조사와 합작사를 설립해 배터리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다. 자체생산 보다 합작사를 만들면 비용을 나눌 수 있고 품질이 검증된 고성능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완성차 업체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생산할 정도의 기술 보유가 되고 대량 시스템을 갖추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며 "2030년은 배터리·전기차 합종연횡을 통해 양육강식 시대로 전환되는 시점이어서 현재 우수한 기업들의 짝짓기가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테슬라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완성차 업체들이 독자적으로 배터리 양산에 나서지고 배터리 업체와 손을 잡는 건 자체 생산에 대한 성공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테슬라는 '모델Y'에 자체 제작한 배터리를 탑재하는 등 내년부터 자체적으로 배터리 양산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현재 미국 텍사스와 독일 베를린에 테슬라 배터리 공장이 지어지고 있다. 테슬라는 소재 생태계까지 형성 중이다. 지난 1월 미국 탈론메탈과 니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현대차가 전기차 시장 주도권을 잡으려면 내재화로 갈 수밖에 없는데 과연 배터리 업체들보다 더 좋은 배터리를 만들 수 있겠느냐가 문제다"며 "변속기와 엔진을 빼고 껍데기만 만들 수만은 없는 만큼 배터리 업체들보다 언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입장에서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와 품질 제고 등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게 향후 전동화 전략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이 투자하는 자금은 120조원(현대차 95조5000억원, 기아 28조원)이 넘는다. 특히 전기차 전용 공장을 신설하고 2025년 새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과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전용 플랫폼 'eS'를 개발할 방침이다.
eM 플랫폼의 경우 표준 모듈 적용으로 모든 세그먼트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된다. 주행가능거리(AER)는 아이오닉 5 대비 50% 이상 개선되며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기술 적용 및 전차종 무선(OTA) 업데이트 기본화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황준익 기자 plusik@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