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소희 기자] 귀농·귀촌 10가구 중 7가구가 귀농·귀촌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농촌에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형 귀농·귀촌'도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만족도와는 다르게 농어촌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소멸 대응'을 위한 실효적 정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3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귀농 가구 중 '현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66.7%로 집계됐습니다.
귀촌 가구 69.3%는 귀촌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귀농·귀촌 생활 만족도에 '보통'이라고 답한 비율은 귀농 31.6%, 귀촌 29.8%입니다. 불만족은 귀농 1.7%, 귀촌 0.9%로 나타났습니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형도 증가세입니다. 지난해 U형 귀농 비중은 75.6%, 귀촌 44.8%입니다. 특히 U형 귀농은 2019년 54.4%에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등 지난해 75.6%를 차지했습니다.
귀농을 하는 이유로는 자연환경(30.3%)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농업의 비전 및 발전 가능성은 22.3%, 가업승계 18.8% 순이었습니다. 귀촌은 농산업 외 직장취업이 24.9%로 가장 높았습니다. 정서적 여유 13.1%, 자연환경은 12.1% 순입니다.
지난해 귀농·귀촌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농지·주택·일자리 등 정보제공(귀농 38.7%, 귀촌 38%)'으로 조사됐습니다. 2022년에도 귀농·귀촌 정착에 필요한 정책으로 가장 많이 꼽힌 바 있습니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3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 가구 중 현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66.7%, 귀촌 가구는 69.3%로 조사됐다. (표=뉴스토마토)
문제는 귀농·귀촌 가구의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추세이나 농촌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 고령화 심화 현상이 중첩되면서 일부 지역은 소멸에 대한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공개한 '농업전망 2024' 보고서를 보면 농촌 인구는 2050년 무렵 약 845만명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농촌 인구는 2010년까지 876만명에서 2020년 976만명까지 증가하다 2022년 961만명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농경연 측은 "농촌 인구의 감소 추세와 더불어 고령화 심화, 청년세대 유출, 다문화 가구의 급증으로 농촌 인구구조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일부 지역은 인구 과소화와 청년 인구 부족으로 내생적 발전 역량이 감소하면서 농촌 소멸 위기를 제기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인구 감소로 농촌 소멸 위기감이 높아지자, 농식품부도 '농촌 소멸 대응 추진방안'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입니다. 어가인구도 2000년 25만명에서 2010년 17만명, 2022년 9만명으로 급감추세입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경남 귀어학교에서 어촌주민, 귀어귀촌인, 관광객, 전문가 등과 소통하는 토크콘서트를 연 것도 이러한 맥락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의 3월 시행을 위해 관련 법령 및 제도 정비 등도 준비 중"이라며 "토크콘서트는 짜인 각본 없이 시급한 정책 아이디어 발굴을 현장에서 찾겠다는 취지로 어촌·연안 활력 제고를 위한 종합계획에 목소리를 담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11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메쎄에서 열린 '2023 케이팜 농업 축산 귀농귀촌 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다양한 농업관련 장비들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김소희 기자 shk3296@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