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대성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해 건설업 전망이 어둡습니다. 투자자들은 총선 뒤로 미뤄둔 PF 부실 폭탄이 터지는 건 아닐까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증권업계에선 하방 압력이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라며 수요 촉진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주택경기 불확실…연기금 매도 계속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건설업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8% 하락한 69.56포인트에 마감했습니다. 건설업지수는 지난 2021년 최고점 145포인트를 찍은 후 현재 반토막이 난 상태로 부진한 모습입니다.
건설업지수는 2022년에 36% 하락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3%를 기록했으며 올해에도 벌써 1%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들의 주가 또한 업종지수 흐름과 비슷한 행보입니다.
건설주의 경우 주요 투자자 중 연기금 등 기관의 매도세가 거셉니다. 기관투자자는 올 들어 95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는데, 이중 연기금이 605억원을 차지했습니다. 개인과 외국인은 177억원, 626억원씩 매수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부터 건설주 투자 비중을 줄이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주택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건설주에 대한 하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PF보증 증가세…"총선 끝나면" 불안감 증폭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미분양 증가, 고금리 지속, 수요 회복 불확실성 등으로 주택시장이 얼어 붙어있다고 평가합니다. 앞으로 경기 회복까지 길고도 힘든 시간을 참고 기다려야 한다고 전망합니다.
특히 건설사들의 PF 보증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총선 이후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유효등급을 보유한 20개 건설사들의 지난해 말 기준 합산 PF보증금액은 30조원(도급사업 20조1000억원, 정비사업 9조9000억원, 연대보증, 채무인수, 자금보충 포함)으로 전년 대비 15.6% 늘었습니다. 이는 2020년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에 총선이 끝난 후 건설업에 대한 정부의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경공매를 통해 토지비가 낮아진 사업장은 착공이 가능하겠지만, 신규로 토지를 매입해 진행하는 사업이거나 도시정비사업 같은 경우는 여전히 사업성이 낮다"면서 "유동성과 공급뿐 아니라 수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대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총선 이후 수요 진작을 위한 전격적인 세제 개편 및 규제 완화 정책이 시행 될 것인지 여부가 내년 이후의 주택시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정부는 유동성 공급을 통해 4월 위기설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과 28일 연이어 '민생활력 제고를 위한 취약부문 금융지원 방안'과 '건설경기 회복 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여기엔 PF 사업장 정상화를 위한 총 9조원의 신규 자금 투입과, LH를 통한 3조원 규모의 건설사 토지 매입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또한 미분양 주택 증가세를 막기 위해 기업구조조정리츠(CR리츠)도 10년 만에 재도입할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간 부문에서의 착공이 증가하긴 어려운 상황이어서 건설주들의 하락세는 이어질 전망입니다.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공공부문은 투자가 늘어 나아질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부동산 업황이 안 좋기 때문에 하반기에도 실적 부진으로 인한 하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총선 마무리로 불확실성이 해소돼 단기 반등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주택경기 회복 위해서는 중요 부동산 활성화 법안의 국회 통과가 전제돼야 하지만, '불확실성' 제거만으로도 단기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건설주 반등을 예상했습니다.
한국거래소 건설업지수가 지난 2021년 고점에서 반토막 이상 추락했으나 여전히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신대성 기자 ston947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