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따른 스마트 바람이 주택 시장에도 불고 있습니다. 친환경이 중요한 경영지표로 떠오른 가운데 먼지나 탄소배출이 많은 건설업계에서는 차세대 건설공법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소형 주택을 찍어내는 수준에 이르렀는데요. 국내에서는 모듈러 주택 보편화를 위해 정부가 앞장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모듈러 주택 공법이란 공장에서 주요 구조물과 건축 마감 등을 선 제작, 이를 공사 현장으로 운송한 뒤 조립해 건설하는 방식입니다. 공장식 대량생산 개념을 건설업에 도입한 ‘탈현장(off-site)’ 건축공법인 셈인데요. 기존 건축 방식 대비 공사 기간을 30~50%가량 단축시킬 수 있고 분진, 폐기물 등의 발생이 적은 친환경적인 건축공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딜로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모듈러 주택시장은 오는 2030년 153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친환경에 공기를 단축할 수도 있고 아직은 대량생산 시스템을 갖추지 못해 초기 비용이 높다지만 시장에서 활성화가 되면 비용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정부 주도하에 모듈러 주택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으나, 아직까지 모듈러 주택시장이 성장을 이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가 뜻밖이었습니다. 최근 LH 모듈러 주택 현장 기자간담회에서 만난 관계자는 조립식 주택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공사 현장 등에서 임시 숙소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박스와 같은 부실한 임시 거처의 이미지가 문제라는 겁니다.
실제 지난 2016년 서울시가 주도해 수서역 역세권 행복주택을 모듈러 주택으로 짓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강남구의 거센 반발로 인해 무산됐습니다.
이후 국내 모듈러 시장은 개인 위주의 전원주택건설 등 소규모 시장에서만 제한적으로 성장을 이어왔습니다.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몰려 사는 국내 건설업계 특성상 아파트, 그것도 브랜드가 있는 아파트가 선호되다 보니 나타난 현상인데요.
이 때문에 정부는 임대아파트 등에 우선적으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모듈러 주택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최첨단 공법을 활용한 친환경, 미래형 스마트 기술의 수혜는 저소득층에게 먼저 돌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세종시에 건설 중인 모듈러 주택(사진=L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