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메일
페이스북 트윗터
(시론)중국시장을 어떻게 접근해야 하나
입력 : 2024-07-26 오전 6:00:00
현재 우리 기업의 해외 시장 전략에서 가장 큰 고민은 중국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입니다. 중국 이외의 다른 국가에 대한 접근은 상대적으로 단순합니다. 그 나라에서 요구하는 대로 맞춰주기만 하면 됩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내세워 미국산 제품에 대해서만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하면 미국에 직접 투자해 현지화 요건을 충족하면 됩니다. 유럽이 공급망실사법을 시행하여 ESG 요건을 강화하면 이를 납품기업들에 적용해 EU 기준에 맞추도록 요구하면 됩니다.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 리스크는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다릅니다, 우선,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큽니다. 중국의 경제성장이 둔화되었다고 하지만 우려할 바는 아닙니다. 이전보다 낮기는 하지만 여전히 5%대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중국 경제에 잠재된 숨은 부실입니다. 중국이 고속성장하는 과정에서 누적된 지방정부의 부채가 심각합니다. 글로벌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 규모를 23조 달러로 추정합니다. 외국 언론은 중국 지방정부의 재정난이 ‘폭발 직전의 압력솥’에 가깝다고 평가합니다. 중국 경제가 연착륙하느냐 경착륙하냐는 지방 정부의 부채를 어떻게 해소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공공부채가 터진다고 중국 경제가 망하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과거 우리나라의 IMF외환위기와 같은 충격이 중국 경제를 덮치고 자칫하면 세계경제의 불황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중국몽’을 내세우며 미국과 정면 대립하는 것도 중국 시장의 리스크를 증폭합니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불이익을 확대하는 조치가 중국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킵니다.   
 
중국 정부의 정책적 경직성은 우리 기업의 중국 진출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중국 시장의 잠재력과 중국 정부의 유혹에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투자했다가 곤욕을 치른 기업은 수없이 많습니다. 
 
한류 열풍을 타고 중국 시장에 진출한 화장품, 의류, 가전, 자동차 등의 소비재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한한령과 혐한 정서에 부딪혀 고전하였습니다. 중국의 일선도시 곳곳에 대규모로 투자한 롯데그룹은 사드 갈등에 휘말려 무지막지한 행정제재에 시달리다 결국 전면 철수를 단행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국에 가장 적극적으로 진출한 대기업은 SK그룹입니다. 중국에서 제2의 창업을 한다는 각오로 ’파부침주‘(破釜沈舟)’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중국 사업에 전력투구했지만, 성과는 지지부진했습니다. 
 
중국에 투자했다가 야반도주한 우리 중소기업의 사례는 부지기수입니다. 중국 시장은 진입장벽이 낮지만, 철수장벽은 높습니다. 일단 들어가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한국과 가까운 중국의 청도, 연태, 대련에는 한때 수천 개의 중소기업이 현지에 투자해 공장을 운영하며 생산하였습니다. 그러나 임금이 상승하고 규제가 강화되어 사업성이 떨어지면서 구조조정이나 공장이전을 추진했지만 여의치 않았습니다. 공장을 매각하면 중국 정부로부터 받은 혜택을 모두 물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감면받은 세금에 가산세를 더하면 매각 대금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니 공장과 설비를 두고 몸만 빠져나올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중국 시장에서 직면하는 장애와 난관은 무수히 많고 리스크가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4억명의 중국 시장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미국의 기업들도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줄이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공급망을 재배치하는 한편, 우회적으로는 중국 시장에 대한 침투를 강화하는 ‘이중전략’을 구사합니다. 
 
우리 기업들도 최근에는 한국 기업이라는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중국 시장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철저히 현지화하여 중국 시장에 깊이 파고 들어 뿌리를 내려야 정치적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한국에 투자하는 중국 기업들과 협력하는 방안도 유망합니다. 최근에 한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와 제휴해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 대규모로 투자하여 올인하거나 전면 철수하는 극단적 대안은 현명한 선택이 아닙니다. 투자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시장잠재력을 최대한 뽑아낼 수 있는 정교한 전략을 다각도로 모색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임채운 서강대 경영학과 명예교수
김재범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