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한중 정상회담을 대하는 항공·배터리업계 표정이 복잡하다. 업계의 막힌 속을 시원하게 뚫어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양국 관계 회복의 전환점을 마련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항공·배터리업계는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3박4일간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결과에 웃지도 울지도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큰 틀의 관계 개선은 분명해졌지만, 업계가 시름하던 중국 정부의 규제 철회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 없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을 비롯해 리커창 총리 등 주요 인사들과 회동했다. 핫라인 구성 등 채널을 복구하고, 향후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하는 등의 성과를 얻어냈다. 반면 야당을 중심으로 손에 쥐는 당장의 실익은 없었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특히 산업계에서 곤혹을 치르고 있는 사드 보복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끌어내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항공업계의 경우 상황이 그나마 나은 편이다. 리커창 총리가 지난 15일 문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중 많은 중국인이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며 관광 정상화에 대한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것이 위안이 됐다.
중국인 관광객으로 붐비던 인천공항 면세점이 지난 3월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상품 판매금지령 이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반면 배터리업계는 여전히 답답하다. 중국 정부는 양국 정상회담을 열흘 앞둔 지난 4일에도 친환경차 정부 지원금 목록을 발표하면서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을 재차 제외시킨 바 있다. 올해 들어서만 11번째다. 내년 초에 발표될 차기 지원금 대상 진입을 노리고 있지만, 이번 회담 분위기를 종합하면 급진적 제재 완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다만, 전문가들 입장은 다르다. 중국이 사드 철회 없이 교류협력의 정상화는 어렵다고 수차례 공언했던 만큼 당장 자기 입장을 철회하기 어려운 데다, 양국 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관계회복의 의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사드 보복 역시 시간 문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도 “업계가 체감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