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건설사 `우르르`..경제근간 `흔들`
시공능력 20위권 건설사 줄도산 가능성 제기
DTI 규제 부활.."정부지원보다 구조조정 바람직"
2011-03-22 11:36:47 2011-03-23 18:52:27
[뉴스토마토 최우리기자] 아파트 브랜드 '리가'로 유명한 LIG건설마저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중소 · 중견 건설사들의 줄도산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 주택시장 침체 속에 주택건설을 주력으로 해왔던 지역의 중소 건설업체나 중견 건설업체로서는 대형 건설사처럼 플랜트와 해외진출 등 사업영역을 다각화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더욱이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부활하면 주택과 건설사업은 더욱 침체될 것으로 전망돼 업계의 시름은 날로 깊어지고 있다.
 
LIG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또 한차례 건설업계에 구조조정 바람이 불어닥치는 것은 아닌지 업계는 바짝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다.
 
◇ 중견건설사 "우르르"..우려가 현실로
 
그동안 증권가에서는 LIG건설의 경영악화 소문이 무성했다. 그러나 업계는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월드건설 법정관리 신청 때는 직원들의 월급도 나오지 않았으나 이번 LIG건설 임직원들은 임금 연체가 없었기 때문에 업계는 건설회사의 상시적인 자금난 정도로 이해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는 다른 건설사들의 '추가 붕괴'가 이어질 것이란 심각한 반응들이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대전지역 3위 시공능력의 운암건설이 최종부도처리된 것을 비롯해 워크아웃 중이던 월드건설도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효성과 한솔이라는 모기업을 둔 진흥기업(002780)과 한솔건설도 흔들렸다.
 
진흥기업은 만기가 돌아온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위기까지 몰렸으나 대주주인 효성의 도움으로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신청을 하며 부도 위기에서 벗어났다.
 
진흥기업은 5월까지 실사를 거친 후 MOU체결을 한다는 방침이다. 한솔건설도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한종효 신영증권 연구원은 "자금상황이 악화된 중소건설사의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크아웃 중인 한 건설사 관계자도 "도급순위 20위권 내 메이저 건설사들은 문제가 없겠지만 그 이하 건설사에 대한 소문은 꾸준히 있어왔다"며 "20위권 이후 회사가 추가로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건설업체는 지난 2009년보다 50곳 늘어난 321곳이었다. 국토부가 내부적으로 집계한 자료에는 지난 2004년 부도건설업체 수는 509곳까지 치솟은 바 있다.
 
2005년 451곳, 2006년 308곳, 2007년 301곳까지 줄곧 감소해왔으나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443곳으로 다시 증가했고 지난해 부도를 맞은 업체가 다시 늘어난 것이다.
 
◇ 주택·건설시장 `침체` 장기화..구조조정으로 내실화 `필수`
 
건설업체가 흔들리는 근본적인 이유는 국내 건설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서희건설(035890), 한라건설(014790), 현대산업(012630)개발 등 최근들어 해외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사업다각화 의지를 밝힌 건설사가 늘고 있는 것 역시 국내 주택·건설시장의 침체를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공공공사 발주가 대폭 줄었고, 건설경기 침체도 장기화되면서 국내에서의 전망은 여전히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정부가 이달말 DTI규제 부활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택시장의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보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미분양을 줄이기 위해 평형을 줄이고, 마케팅을 다양화하는 등 활로를 찾았지만 근본적으로 침체된 시장에 훈풍이 불지 않는 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금 상환 등 자금난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 국내 건설사들의 현실이다.
 
이에 따라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주장들이 꾸준히 나왔다. 지난해 5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부실위험 건설사가 232개"라며 "정부지원보다 구조조정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당시 KDI는 "PF대출 연체율이 확대되는 가운데 건설업체의 부도가능성 제기된다"며 금융기관의 연쇄 충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6월 3차 건설업 구조조정결과가 시장에 미친 파급효과도 미약했다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시적인 정부지원보다 장기적으로 볼 때 구조조정이 더 나은 선택이라는 주장이다.
 
반면 지역경제에서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차지하는 비중 높은 만큼 건설업계의 구조조정은 신중해야한다는 소리도 적지 않다.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업체가 부도나면 하도급업체는 물론 건설장비, 인력, 자재 등 연관산업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구조조정만이 능사는 아닌 만큼 현금흐름 방식 개선 등 시스템적인 개선이 차곡차곡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토마토 최우리 기자 ecowoori@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