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국내 사모펀드 3곳 입찰(종합)
국내 지주사 참여 안하면서 유찰 가능성 커져
MB임기내 민영화 불가능할 듯
2011-06-29 17:42:31 2011-06-29 18:39:45
[뉴스토마토 황인표기자] 우리금융(053000)지주의 매각에 국내 사모펀드 3곳이 입찰에 응했다. 금융지주사들은 아무 곳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입찰에 참여한 사모펀드 3곳은 현실적으로 인수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
 
29일 오후 5시까지 우리금융 인수의향서(LOI) 제출을 마감한 결과 입찰에 응한 곳은 보고펀드, MBK파트너스, 티스톤 등 3곳으로 알려졌다.
 
외형상 경쟁입찰(2곳 이상 지원) 형태는 갖춰졌지만 국내 사모펀드들은 실제 인수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우리금융 매각이 또 한 차례 유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금융계의 예상이다. 
 
앞서 국내 금융지주사들은 모두 "관심이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고 강만수 회장 취임 이후 관심을 보였던 산은금융지주도 정치권과 금융위원회의 반대로 우리금융 인수를 포기했다. 사실상 민영화 좌절이 예상된 셈이다..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개정 없이 추진된 이번 매각은 애초부터 어려움이 예상됐다. 현행법에 따르면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사를 소유하려면 주식지분 95%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예보 소유 지분(57%) 외에 38%의 지분을 더 사들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이번에도 유찰될 경우 우리금융 민영화를 다시 원점에 놓고 다양한 대안이 모색될 전망이다. 
 
먼저 예보가 블록딜(대량 매도)로 지분을 쪼개 팔수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여러 차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블록딜'로 우리금융 지분을 줄여왔다.
 
일각에서는 포스코(005490), KT(030200)와 같이 국민주 방식으로 민영화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는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꾀하는 당국의 입장에서 볼 때 온전한 '주인'을 찾아주는 게 더 낫다.
 
우리금융 전체 지분의 덩치(6~7조원)가 너무 커서 한꺼번에 인수하기 어려운 만큼 분리 매각이 현실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우리은행 ㆍ우리투자증권ㆍ나머지 계열사 등을 묶어 따로 매각해야 한다는 얘기다. 앞서 한 차례 좌절된 작년 매각 떄도 지방은행은 분리 매각 방식으로 처리하려고 했었다.
 
"결국 외국계 자본에 손을 빌릴 수 밖에 없지 않느냐"는 주장도 있지만 외환은행과 관련된 론스타 논쟁에서 보듯 여론상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은 12조원에 이르며 이중 회수된 자금은 41.5%인 5조3000억원이다.  
 
뉴스토마토 황인표 기자 hwangip@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