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던 해외건설, 4대강 담합에 `발목`..건설업계 `멘붕`
검찰수사·세무조사 이어질 가능성 높아..해외공사 수주 악영향 우려
2012-06-08 15:49:31 2012-06-08 15:50:02
[뉴스토마토 원나래기자] 4대강 사업에 건설사들의 입찰 담합 혐의가 최종 확정되면서 거액의 과징금은 물론 이 여파가 해외건설 시장까지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건설업계는 지금 ‘멘탈붕괴’ 상태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전원회의를 열고 4대강 사업 과정에 입찰 담합한 8개 건설사에 총 1115억원의 과징금 부과를 결정했다.
 
업체별로 부과된 과징금은 대림산업(000210) 225억4800만원, 현대건설(000720) 220억1200만원, GS건설(006360) 198억2300만원, SK(003600)건설 178억5300만원, 삼성물산(000830) 103억8400만원, 현대산업(012630)개발 50억4700만원, 대우건설(047040) 96억9700만원, 포스코(005490)건설 41억7700만원 등이다.
 
이 밖에 금호건설과 쌍용건설(012650), 한화(000880)건설 등 8개 업체는 시정명령을, 롯데건설과 두산건설(011160), 동부건설(005960) 등 3개 업체는 경고 조치를 받았다.
 
하지만 거액의 과징금 부과는 시작에 불과했다. 이를 계기로 4대강 참여 건설사의 비자금 조성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검찰수사는 물론 국정조사나 청문회 등 정치권의 주요쟁점이 되고 있다.
 
게다가 8일 오전에는 급기야 4대강범대위와 4대강국민소송단, 환경운동연합 등은 공정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정위와 담합건설사를 직무유기, 경매입찰 방해죄 등으로 검찰에 고발한다고 나섰다.
 
공정위의 ‘늑장대응’,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판과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여론에 검찰수사와 세무조사가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 건설업계는 현재 사면초가에 몰렸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는 “4대강 참여 건설업체는 정치적인 싸움의 희생양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가뜩이나 적자인 4대강 사업에 과징금 부과에다가 해외수주 피해까지 억울함을 호소했다.
 
과징금이 부과된 업체 관계자는 “정부시책으로 적자를 감수하고 공사를 진행했는데 과징금이냐”며 “적자로 손해를 봤지 이득은 없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참여 업체 관계자는 “국내 물량난으로 해외시장에 집중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4대강 담합에 국내 건설사들의 이미지가 실추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치열한 해외수주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이어 “후폭풍으로 건설사 임직원들이 검찰에 고발된다면 사태는 더욱 심각하다”며 “해외공사 수주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것은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