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수출 급격한 개선 어렵다..FTA로 확대"
선진국 중심 수요 침체·신흥국 보호 무역주의 영향
지경부, 주요 업종별 하반기 수출 여건 논의
2012-06-29 06:00:00 2012-06-29 06:00:00
[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선진국 중심의 수요 침체와 신흥국의 보호 무역주의 등으로 수출의 급격한 개선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정부는 이에 따라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시장 선점 효과 등을 통해 수출 확대 도모키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29일 오전 10시30분 한국기술센터빌딩에서 주요 수출기업과 관련 협회·연구소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입동향 점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조석 지경부 2차관은 "올 상반기는 유로존 위기와 중국의 경기 위축 우려 등으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았던 시기였다"며 "우리 수출도 예상보다 크게 둔화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주요국의 경제 회복이 전망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기업들의 체감 경기도 악화되고 있다"며 "이를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수출 여건을 점검하고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을 쏟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연구원은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세계 경제의 부진이 이어지고 국제유가·환율 등 주요 변수들의 변동성도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수출은 하반기에도 대체로 부진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반기는 세계경기 둔화에 대처하기 위한 글로벌 정책공조와 이에 따른 유로존 불확실성 일부 완화 등에 힘입어 상반기보다 다소 나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선진국 중심의 수요 침체와 공급 과잉에 따른 단가하락·신흥국의 보호 무역주의 등으로 수출의 급격한 개선은 어려울 예정이다.
 
단, 어려움 속에서도 FTA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시장 선점 효과 등은 수출 확대를 위한 주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으로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가 회복한다면 하반기 수출 여건이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기대했다.
 
정부는 그 동안 겪었던 위기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수출을 꼽으며, 수출의 지속적인 확대와 무역 규모 1조 달러 이상 기조를 견지하기 위해 민·관 공조 체제의 구축을 통한 공동 노력을 강조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