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맥증권 비대위 "거래소에 착오거래 책임 물을 것"
2014-05-21 19:40:15 2014-05-21 19:44:32
[뉴스토마토 최하나기자] 한맥투자증권 전현직 임직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가 한국거래소를 상대로 착오거래 때문에 발생한 손실회복이 지연되는 책임을 촉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21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거래소 주최 금융투자업계 CEO조찬 간담회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래소가 한맥 사태에 대해 책임있는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착오거래와 관련해 거래소가 제도의 미비, 시장감시 기능의 상실, 무책임한 결제대금의 지급 등 책임을 피할 수 없는 지위에 있지만 모든 부담을 각 회원사에게 전가시키는 등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또 거래소가 한맥투자증권의 주문 실수로 발생한 손실액 대부분을 증권사들이 출연한 손해배상 공동기금으로 충당한 것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대응이라고 비난했다.
 
강교진 한맥투자증권 부사장은 "해외 금융선진국은 착오거래를 직권 취소하고 정상가격 범위내로 가격을 조정하는 구제제도를 시행하고 있다"며 "최근 몇년 사이 골든브릿지증권, 미래에셋증권, KTB증권 등의 착오거래 사고가 있었음에도 후속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또 착오거래가 발생한 당일 한맥증권과 거래소, 코스콤의 통화 녹취록도 공개했다.
 
김치근 한맥투자증권 부회장은 "코스콤이 착오거래 취소를 전산으로 하겠다고 했지만 해결하지 못했고 구제 연장 신청과 지급 보류 신청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거래소의 책임을 물었다.
 
이에 대해 거래소 관계자는 "당국이 착오가 날때마다 거래를 취소하게 되면 시장 안정화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구제요건을 마련해 법에 맞게 대응한 것"이라며 "한맥 측의 시스템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코스콤은 한맥투자증권 비대위 측 주장이 사실과는 다르다고 반박했다.
 
코스콤은 "원래 착오거래에 대한 구제신청은 해당 증권사가 직접 거래소에 입력하도록 돼 있다"며 "한맥투자증권이 먼저 착오건수가 너무 많아 코스콤에 유선상으로 구제 일괄 프로그램 개발을 요청했고, 긴박한 상황을 고려해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답한 후 개발 진행에 나섰지만 신규 프로그램을 만들어 테스트까지 해 적용해야 했기에 구제 신청 마감 시한까지 불가능하다고 판단돼 한맥투자증권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날 거래소가 한맥투자증권 사태 수습상황을 회원사에게 알리기 위해 비공개로 주최한 금융투자업계 최고경영자 조찬간담회에서는 다섯 가지 대책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소는 한맥사태와 관련해 ▲사후증거금 제도 엄격 시행 ▲ 옵션시장 동적 상하한가 제도 도입 ▲착오매매 일괄 등록제도 도입 ▲ 착오매매 직권취소제도 도입 ▲착오매매 정정기간 다음날까지 연장(T+1)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지만 김치근 부회장은 "업계에서 착오거래 관련 사고가 빈번함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대응책이 없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한맥투자증권은 지난해 12월 코스피200 옵션 주문 실수로 400억원대의 손실을 입고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금융위는 지난 1월 한맥투자증권에 대해 경영개선 명령과 함께 오는 7월15일까지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