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아파트 '과잉공급' 우려..'미분양' 악몽 재현되나
가계부채 1000조 훌쩍 돌파..10월 개인회생 신청자 9만3105건 '최대'
2014-11-27 18:03:08 2014-11-27 18:07:06
[뉴스토마토 김영택기자] 지난 2000년 이후 최대 물량이 올 하반기 분양시장에 풀리면서 아파트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꾸준히 감소하던 미분양 물량이 지난 10월 들어 다시 소폭 증가하면서 곳곳에서 불길한 징조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정책 덕분에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해 시장 분위기를 견인했지만, 금새 약발이 떨어지면서 부정적인 부동산 지표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 하반기(7~12월) 전국 분양예정 아파트는 총 184개 단지, 14만500여 가구로 지난해와 비교해 2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0년 이후 최대 분양물량이다.
 
올해 분양물량이 최대치를 기록한 데는 정부가 연이은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그간 족쇄처럼 강화됐던 고삐가 풀렸고, 이에 건설사들도 미뤄뒀던 신규 물량을 한꺼번에 쏟아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현대건설(000720), 대우건설(047040), GS건설(006360), 현대산업(012630)개발, 삼성물산(000830), 대림산업(000210) 등 건설 빅6는 지난 2010년 총 2만2021가구를 분양했지만, 올 연말까지 3배 이상 증가한 6만6500여 가구를 분양할 전망이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 덕분에 꽁꽁 얼어붙어 있던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되찾은 것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분양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미분양이 급속도로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입주시기가 되는 2~3년 뒤 물량이 많아지면서 상승했던 프리미엄이 떨어져 '하우스 푸어'가 늘고, 시장도 급격히 얼어붙어 악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2.4% 증가한 4만92가구로 집계됐다.
 
정부의 9.1부동산 대책 발표 2개월 만에 급감했던 미분양 주택이 다시 늘어난 것이다.
 
물론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난 9월 1만8342가구 대비 4.1% 감소한 1만7581가구로 집계되면서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대규모 물량이 동시다발적으로 시장에 쏟아질 경우 얘기는 달라진다.
 
부동산 거래를 현장에서 지켜보는 대부분의 공인중개사들 역시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약발을 다해 앞으로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는데 힘을 보태고 있다.
 
◇부동산써브가 실시한 전국 공인중개사 대상 '향후 부동산시장 전망' 관련 설문조사.(자료=부동산써브)
 
부동산써브가 전국 공인중개사 6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3.5%(466명)가 '9·1부동산대책 약발은 끝났다'고 응답했다.
 
특히 부동산 대책 이후 2개월 사이에 '매수세가 줄었다'는 답변이 전체의 65.9%로 집계돼 '매수세가 늘었다(8.5%)'를 압도했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최근 주택 매매시장의 약세는 수요자들의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 하락 때문"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가계부채와 고용불안정, 대내외 경제불안 등도 국내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올해 들어 가계부채가 1000조원을 훌쩍 뛰어 넘었고, 개인회생 신청 건수도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2014년 주택담보대출 성장세 지속.(자료=한국은행, 메리츠종금증권)
 
실제로 27일 법원통계월보를 보면 지난 10월까지 개인회생 신청자는 9만3105건에 달했다.
 
가구당 대출비중이 증가하면서 가계지출도 감소하고 있고, 특히 인구구조 변화로 앞으로 집값이 오르기 어렵다는 불안감이 소비를 더욱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건전성 가계부채의 증가는 큰 문제는 없지만, 자칫 집값이 떨어져 자산(부동산) 가치가 훼손되면서 부실성 가계부채로 전환될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클 수밖에 없다.
 
주택시장 한 전문가는 "하반기 대규모 주택공급 증가로 향후 미분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올해 높은 전셋값이 지속되면서 주택구입 여력을 갖춘 수요자들이 어느 정도 매입에 나섰지만,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단지가 쏟아지고 있어 수급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가계소득은 낮은 반면 주택가격은 상승해 구입 부담이 높다”면서 "특히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가계의 추가 자금조달 여력이 감소한 것도 미분양 증가를 부추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