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K7, 감성시스템·성능 탁월
2009-12-10 10:00:00 2009-12-10 10:00:00
[뉴스토마토 이호석기자] 기아차가 야심차게 내놓은 준대형 신차 K7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신기술들을 대거 선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빛과 선의조화를 추구했다는 내외부 인테리어는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국내 최초로 적용된 LED 간접조명 램프는 빛을 내는 단위가 점에서 선과 면으로 확대돼 더욱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빛을 자랑한다.
 
또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아웃사이드 미러가 펼쳐지고 도어 손잡이가 점등되며 차 문을 열었을때는 실내등, 무드조명, 풋 램프 등이 일제히 운전자를 반긴다.
 
기아차 정선교 마케팅팀 차장은 "K7은 빛과 선으로 다이나믹함과 럭셔리를 한꺼번에 구현했다"면서 "국산과 수입차를 가리지 않고 준대형급에서 최고의 성능과 편의사양을 자랑한다"고 강조했다.
 
기아차는 K7 출시때부터 차량의 기능적 측면 못지 않게 감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는 기존 신차 홍보전략과는 차별화되는 면도 있어 시장에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질 법하다.
 
K7을 시승하면서 직접 기아차가 자랑하는 감성 시스템과 성능을 직접 경험해봤다.
 
업체의 홍보처럼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모자라지도 않았다.
 
시승구간은 삼천포해상관광호텔 주차장에서부터 남해 힐튼리조트까지 약 80km 구간.
 
중후함보다는 오히려 세련되고 도시지향적인 느낌이 강한 K7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헤드램프였다.
 
헤드라이트를 7자모양으로 감싸고 있는 빛의 선은 밝으면서도 다부진 인상을 줬다.
 
기아차에 따르면 K7의 휠베이스(앞 뒤 바퀴 사이의 거리)가 국내 준대형 경쟁차들은 물론 수입차들보다도 60~80mm 가량 길다. 휠베이스가 길어지면 실내공간도 넓어진다.
 
조심스레 가속페달을 밟아보니 즉각적으로 엔진의 반응이 나타난다. 시승차인 3.5 모델의 출력은 자그마치 290마력. 시승 내내 힘이 남아돈다는 인상을 받기에 충분했다.
 
깜빡이를 넣지 않고 차선을 바꾸니 경보음이 갑작스레 울렸다. 졸음으로 인한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인데 60km 이상 주행에서 작동한다.
 
굴곡이 많은 남해안도로에서 갑작스런 코너링과 핸들조작에도 무리없이 반응한다.
 
장시간 운전 중에 앞유리와 옆 유리에 습기가 차자 아무런 작동도 하지 않았는데 자동으로 김서림 제거기능이 작동된다. 곧바로 다시 시야가 깨끗해진다.
 
준대형차급이지만 수입 럭셔리 모델에 비교해도 각종 편의사양이 오히려 더 우월하다.
 
K7은 여러가지로 운전자의 자그마한 불편에도 섬세하게 신경을 썼다는 느낌을 받기에 충분했다.
 
경쟁차종인 르노삼성의 SM7, 현대차 그랜저 등이 모두 상대적으로 오래전에 출시된 모델이라 판매경쟁에서도 어느정도의 우위가 예상된다.
 
다만 기아차의 브랜드 선호도와 경쟁차종 대비 값이 좀 비싼 점을 감안하면 완승을 낙관하기는  조심스럽다.
 
창사이래 첫 준대형급 첫차를 내놓은 기아차는 K7의 성공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뉴스토마토 이호석 기자 arisan@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