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 보호, 사회적 금융 등 사회적 책임 이행 능력을 종합검사 주요 평가 기준으로 삼기로 했다. 사회적 책임 항목의 배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사들도 종합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사회적 금융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6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종합검사 대상 금융사 선정 작업을 진행 중인 금감원은 금융소비자 보호 등 '사회적 책임' 이행 여부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보는 평가 지표를 마련했다. 종합검사는 금융사 검사 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 2015년 폐지됐다가 4년만에 부활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부터 일정한 기준을 밑도는 금융사에 검사 역량을 투입하는 '유인부합적' 종합검사를 실시하는 만큼 그에 맞는 평가 기준도 새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소비자 보호 등 사회적 문제와 연결되는 사안에 대해 일정 기준을 마련하고 주기적으로 평가해야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의 종합검사는 각 업권의 감독시행세칙에 따라 자본적정성과 자산건전성, 경영관리, 수익성, 유동성 등을 평가한다. 평가 항목 가운데 경영관리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 보호 실태와 지역재투자, 일자리 창출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이 얼마나 높은지 등 정성적 평가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금융사들도 사회적 금융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책에 고심하고 있다. 지난해 즉시연금 사태를 촉발한 삼성생명을 비롯해 2년전 경영실태평가를 받았던 신한금융지주·은행, KB금융지주·은행 등은 종합검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어느 곳이 종합검사 첫 타깃이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일정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평가기준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개인·기업여신은 물론 마케팅에서도 포용적금융과 연계된 아이템을 발굴하는데 더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