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정부의 '포용적 금융' 드라이브 등으로 대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금융권의 올해 주요 과제로 '리스크 관리'가 꼽히고 있다. 그러면서 제3인터넷전문은행, 인터넷전용보험사 등 신규 경쟁자들의 등장이 예고된 만큼 금융사들이 핀테크회사 인수를 통해 '디지털 전환'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했다.
금융당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포용적 금융'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금융사의 자금 운용이 중소기업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신영 KDB미래전략연구소 연구원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육성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대출규모가 계속 늘고 있다"며 "리스크관리가 동반되지 않으면 부실로 연결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대외 불확실성에 대내적으로는 경기둔화 논란이 불거지면서 국내 은행들에 대한 건전성 우려도 커졌다.이 연구원은 "실제로 최근 4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부터 계속 상승하고 있어 올해엔 면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규제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가계대출 시장에서는 카카오뱅크·K뱅크에 이어 제3·4의 인터넷은행 출범이 가시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험업권에선 보험과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한 인터넷전문보험사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류창원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그동안 금융사들이 다양한 핀테크 회사와 제휴를 맺거나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직접적인 지분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사가 다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아닌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이 필요하다. 핀테크나 플랫폼, 유통 등 다양한 회사와 협업해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금융정책방향에 대해서도 금융산업 발전 정책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주사 계열사간 데이터 공유 등에 대한 규제를 신속히 완화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금융정책이 포용적금융으로 치우치는 것은 위험하고 산업 발전을 위한 규제 완화를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데이터는 지주회사 산하 계열사끼리 공유가 돼야 한다"며 "지금은 마케팅 목적이 아닌 경우에만 데이터 공유를 허용하고 있는데, 금융데이터가 활성화되면 고객들 입장에서도 자산관리가 더욱 편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당국의 소비자보호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소비자의 금융역량도 함께 확보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조성목 서민금융연구원장은 "금융상품은 일반적인 상품에 비해 판매자와 소비자 간 정보 비대칭이 크고 그로 인해 원금 손실 등 피해를 볼 가능성도 적지 않다"며 "소비자가 권리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금융역량이 있어야 불완전판매 등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월 서울시 시민청에서 열린 인터넷전문은행 규제혁신 현장 방문 행사를 마친 후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QR코드 결제 방식에 대해 설명 듣고 시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