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경제정책방향)국민·경제전문가, 내년 우선순위 '코로나 불확실성 대응' 꼽아
KDI, 일반국민·경제전문가 1343명 설문
향후 보완 정책, ‘일자리 지키기·창출’ 지목
내년 경제정책 ‘코로나 불확실성 대응’ 우선해야
2020-12-17 14:00:00 2020-12-17 14:00:00
[뉴스토마토 이정윤 기자] 올해 일반국민과 경제전문가들은 ‘일자리 지키기·창출’을 아쉬운 부분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내년 경제정책방향의 가장 우선순위로는 ‘코로나 불확실성 대응’을 지목했다.
 
17일 정부가 발표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 설문조사(일반국민 1000명과 경제전문가 343명 대상) 결과’에 따르면 내년 경제에 대해 국민의 72.7%가 ‘올해와 비슷하거나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전문가의 43.3%는 ‘올해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올해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에서는 94.5의 경제전문가와 86.1%의 일반국민이 ‘나빠졌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설문 응답자들은 백신 보급 지연, 감염병 재확산 등 코로나19와 관련한 불확실성을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대내외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올해 정책 평가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28.7%가 ‘소상공인 등 피해지원’, 경제전문가의 27.2%는 ‘소비 등 내수진작’을 잘한 정책으로 뽑았다. 다만, 두 집단 모두 향후 보완이 필요한 정책으로 ‘일자리 지키기·창출’을 선택했다. 
 
17일 정부가 발표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내년 경제에 대해 국민의 72.7%가 ‘올해와 비슷하거나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조사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일반국민 1000명과 경제전문가 34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출처/기획재정부
 
특히, 일반국민(32%)과 경제전문가(41.1%)들은 모두 ‘코로나 불확실성 대응’을 내년 경제정책방향의 가장 우선순위로 지목했다. 선도형 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해서는 일반국민(12.5%)은 ‘지속가능한 성장기반 마련’을, 전문가(14.6%)는 ‘성장동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봤다. 
 
코로나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중점정책으로 경제전문가와 일반국민은 ‘경제·방역간 균형 도모’를 공통적으로 주문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이를 위한 핵심과제로 재정·금융 완충능력 강화와 방역 친화적 소비여건 조성을 지목했다.
 
경제반등을 위해서는 두 집단 모두 전방위적 투자 촉진과 내수경기 진작을 중점정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 중 내수경기 진작을 위한 핵심과제로 경제전문가들은 재정·세제 인센티브 등을 통한 민간 소비 촉진을 지목했다.
 
민생 개선 및 지역경제 활성화의 경우 경제전문가의 41.1%가 ‘고용 안정’을, 일반국민의 32.3%는 ‘소상공인 지원’을 중점정책으로 답했다. 고용 안정을 위해 경제전문가는 고용증대 인센티브 확대(25.1%)를, 일반국민은 맞춤형 일자리 지원(27.1%)을 핵심과제로 주문했다.
 
17일 정부가 발표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32%)과 경제전문가(41.1%)들은 모두 ‘코로나 불확실성 대응’을 내년 경제정책방향의 가장 우선순위로 지목했다. 이 조사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일반국민 1000명과 경제전문가 34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출처/기획재정부
 
이 와 관련해 정부 측은 "내년에는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 및 활력 복원과 동시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도형 경제로의 대전환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관련해서는 경제전문가들이 디지털 뉴딜을 꼽았다. 이를 위한 핵심과제로는 전 산업 5G·인공지능(AI) 융합 확산, 데이터 구축·개방 등을 제시했다. 일반국민은 빅(Big)3 등 제조업 분야 혁신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것을 주문했다.
 
지속가능한 성장기반 마련과 관련해서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친환경·저탄소 경제 전환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경제전문가들은 친환경·저탄소 경제 전환의 핵심과제로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지목했다.
 
포용성·공정성 강화를 위해서는 코로나발 어려움을 감안해 두 집단 모두 ‘코로나 시대 격차 해소’를 주문했다. 경제전문가들은 격차 해소를 위한 핵심 과제로 생계·의료·주거 등 사회안전망 확충을 제안했다.
 
이정윤 기자 jyo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