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하자에 무너진 K-건설
올 2분기 건설현장 사망자 63명…전년比 21%↑
3년 연속 붕괴사고에 불안감 증폭
"인력관리 구멍…근본대책 나와야"
2023-07-27 06:00:00 2023-07-27 06:00:00
 
[뉴스토마토 백아란·김성은 기자] 국내 건설사들이 잇단 안전사고와 부실시공으로 흔들리고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년 반을 넘겼지만 건설현장의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는 데다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붕괴사고가 되풀이되며 건설사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건설사고 사망자는 총 63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1명, 최근 기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1분기(55명)와 비교해도 15% 늘었습니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3명(11개사)입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한화 건설부문의 현장에서 각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롯데건설의 아파트 재건축 공사장에서도 1명이 숨졌습니다.
 
금호건설, 신세계건설, 대광건영, 시티건설, 보미건설, 대우산업개발, 동문건설, 이수건설이 원도급사로 시공하는 곳에서도 각 1명의 현장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사망사고 원인은 낙상, 끼임, 깔림, 물체에 맞음 등 후진국형 재해로 일컬어지는 단순사고였습니다.
 
시평 100위 밖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공표 당시 기준)는 지난해 △2분기 35명 △3분기 43명 △4분기 43명을 이어가다 올해 △1분기 48명 △2분기 50명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명피해 등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한 중대재해처벌법이 지난해 1월 27일 시행됐음에도 안전 불감증이 여전한 모습입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건설현장의 붕괴사고 다발로 부실시공 문제가 불거지며 국민들의 불안감도 증폭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6월 HDC현대산업개발의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현장에서 철거 중인 건물이 붕괴돼 사상자를 낳았고, 이듬해 1월 광주 화정 아이파크의 고층 외벽이 공사 중 무너져 근로자들이 사망했죠.
 
올해 4월 말에는 GS건설이 짓는 인천 검단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붕괴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다른 단지에서는 침수, 악취, 외벽 균열 등의 문제가 나타나면서 GS건설에 대한 신뢰는 추락한 상태입니다.
 
대우건설과 롯데건설 아파트 단지에서도 각각 침수와 철근 외부 노출이 발생하며 건설업계 전반으로 불신이 확산되는 분위기입니다.
 
점검·대책 나오지만…"건설업계 인력난 해결해야"
 
건설사들이 사고와 하자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여러가지 방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100억원 이상 공공공사에 적용해 온 동영상 기록관리를 100억원 미만 공공공사와 민간 건설사로 확대해 부실공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지입니다.
 
민간 건설사가 시공하는 아파트 현장은 지상 5개층 상부 슬래브만 촬영해왔는데, 지하층은 물론 전 과정을 빠짐없이 촬영해 건설현장의 '블랙박스'를 남기겠다는 것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0~40년 전에만 있는 줄 알았던 후진국형 부실 공사가 횡행하고 있다"면서 "(동영상을)제대로 기록해 보존하면 부실시공을 획기적으로 줄일 거라고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HDC현대산업개발, 호반건설, 한화 건설부문, 코오롱글로벌 등 시평 상위 30개 건설사들이 동참 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GS건설이 시공하는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지난 4월 사고가 발생한 구역이 가려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토부 또한 안전사고 발생 현장에 대해 관계기관 합동 특별점검을 꾸준히 실시하는 한편 건설안전 간담회를 통해 사고 감축 방안을 논의키로 했습니다.
 
다만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사를 직접 수행하는 건설사 차원에서 심각성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고, 전문인력 이탈과 외국인 노동자 증가 등 인력관리에 구멍이 생겼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어느 순간부터 건설사의 전문인력 이탈이 급속도로 이뤄지면서 업무 연속성이 약화됐지만 회사는 이를 깨닫지 못하고 있다"며 "현장에서는 젊은 인력이 들어오지 않으면서 그 자리를 외국인 노동자가 대체하게 됐고, 인력관리는 더욱 힘들어졌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안전관리 비용은 필수가 아닌 선택에 불과했다"면서 "안전보다 더욱 빠르고 저렴하게 건물을 짓는데 중점을 뒀다"고 덧붙였습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이미 건설사마다 현장 곳곳에 CCTV를 설치해 중앙에서 파악하고 있다"면서 "영상 기록이 일부분 효과는 있겠지만 사후 관리의 측면이지 부실시공을 없애기엔 한계가 있다" 했습니다.
 
 
백아란·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