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 소도시는 물론 주요 대도시들에 있는 학교까지 폐교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의 갖은 노력에도 저출산 추세가 지속하면서 앞으로 문을 닫는 학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8일 교육부가 운영하는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 따르면 1976년부터 올해 3월 1일까지 전국 폐교 수는 3896곳이다. 2020년 5월 말 기준 폐교 수는 3834곳이었는데 약 2년 만에 62곳 더 늘어난 것이다.
그동안 폐교가 지방 소도시를 중심으로 진행됐다면 최근 들어서는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들에서도 나오고 있다.
서울의 경우 강서구의 염강초등학교와 공진중학교가 2020년 문을 닫았고, 최근에는 서울 도봉고등학교가 2024년 폐교한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도봉고는 올해 45명의 신입생이 입학했으나, 1학년 대부분은 인근 학교에 재배치되거나 전학한 상황이다. 학생 수가 적으면 내신 상대평가에서 불리해 학생과 학부모들이 재배치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국내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한 도시임에도 이처럼 신입생 부족에 시달리는 학교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17년 103만5217명이었던 학생 수가 지난해 90만4705명까지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고교생이 다른 학교급보다 감소세가 가팔라 도봉고 외에 4개 고교가 앞으로 통·폐합되거나 학생 재배치를 논의 중인 상황이다.
(그래픽=구선정 디자이너)
서울 외 주요 도시에서도 학교들의 폐교가 이어졌다. 특히 올해 부산에서는 가락중, 덕천여자중, 서곡초 3곳이 문을 닫았다. 지난해에도 부산에선 좌성초 1곳이 폐교한 바 있다.
경기 지역에선 포천시에 있는 금주초와 영중초, 영평초가 올해 폐교했다. 지난해에는 안성에 있는 서삼초와 보개초, 시흥 소재 군서중 등이 문을 닫았다.
이처럼 학교들의 줄 폐교가 이어지는 이유는 출산율 저하로 학령인구(6~21세)가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학령인구는 748만2000명으로 지난해 770만명보다 2.8%가량 줄었다. 10년 전인 2013년 939만7000명과 비교하면 약 20.4% 급감했다. 학령인구는 매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로 지난 20년 동안 30% 이상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이 때문에 폐교를 면한 학교라도 규모는 지속해서 작아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12년 20곳에 불과했던 서울시 소규모 학교는 지난해 99곳으로 무려 5배 늘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각각 41곳과 45곳이었고, 고등학교도 13곳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소규모 학교 기준은 초등학교는 전교생 240명 이하, 중·고등학교는 300명 이하다.
이처럼 인구가 줄면서 학교가 통·폐합이 계속되고 있지만 교육부는 지역사회의 반발을 고려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진 않다. 다만 시·도교육청에 학교 통·폐합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신설학교 설립에 제한을 두는 방식으로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