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전경.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달러 가치가 급등해 강달러를 넘어 킹달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킹달러는 제약바이오업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나 업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전망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달러 가치는 2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서 바이오업계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 기반 매출이 높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수혜가 예상된다.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고환율 기조 속 환차익을 누릴 수 있고 원가에서 차지하는 원재료 비중이 낮은 것도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또 글로벌 제약사의 CMO 매출액이 대부분 달러이며, 위탁생산 특성상 원·부자재 비용은 고객사로부터 환급받을 수 있어 환율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해외 임상 비용이 급증하면서 신약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약개발 등을 위해 진행 중인 글로벌 임상시험의 통화는 달러이기 때문이다.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바이어 기업들이 글로벌 임상을 시작하려고 할 때는 비용 부담에 따라 진입장벽도 더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달러 기반 매출 비중이 크고 원자재와 인건비 등 비용에선 달러 비중이 작아 달러의 순노출도가 높은 업체가 환율이 높아지는 구간에서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높아지는 구간에서 수혜를 보는데는 동의한다"면서도 "바이오 산업의 경우 원자재는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위탁개발생산(CDMO)은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이 CDMO는 고객사에서 원부자재의 비용을 지불한다"며 "비용이 올라가더라도 매출에는 영향이 없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킹달러 추세 속에서 환율에 영향을 받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이 존재한다"며 "외국과 무역을 통해 원재료를 수입하는 기업들은 킹달러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고금리와 킹달러는 금융 비용에 대한 이슈와 같이 연동돼 바이오업권의 투자 부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기본적으로 주식보단 은행권으로 자금이 흘러가 신성장을 위한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 다만 수출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들은 간접적인 반사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원장은 "바이오시밀러 사업으로 수출을 많이 하는 기업은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며 "(고금리와 킹달러) 이전에 위탁생산(CMO)사업에서 달러 계약을 맺고 이후 국내에서 환율을 적용했을 때 반사 이득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윤택 원장은 "다만 수출하는 기업은 원부자재도 수입해야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 부담도 마찬가지로 일부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기환 바이오경제연구센터장도 "고환율과 상관관계는 크지 않으며, 오히려 원자재 인상과 연관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다만 고금리와 킹달러는 바이오업계를 한정해 영향을 미치기보단 산업 전체에서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에 부담을 준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는 매출과 사업 성장 속도가 가장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환율 변동이 수출입과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글로벌 달러화 강세로 전반적인 교역이 위축되면서 올해 2~3분기 우리나라 무역수지 적자가 60억 달러 확대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무역수지 적자폭을 20억 달러 완화하는데 기여했으나 한국을 제외한 국가의 달러 대비 환율 변동이 무역수지 적자폭을 80억 달러 늘어난 영향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 수출여건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원화가치가 하락하지 않았을 경우 현 수준보다 더 큰 폭의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봤다.
김준형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환율 변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환율 변동이 무역수지 불균형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국의 거시경제 여건에 부합하는 통화정책은 환율 변동을 야기하면서 국가 간의 불균형을 완화하는 기제로 작용하는 셈이다.
김준형 연구위원은 "국제교역이 대부분 달러화로 결제되는 경우 환율 변동의 수출에 대한 단기적인 영향이 미미해, 무역 불균형 조정이 제한된다"며 "중장기적으로 거시건전성 강화와 금융 및 외환시장 제도 개선 등을 통해 국제교역에 원화 사용이 활성화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