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메일
페이스북 트윗터
"서울도 난리인데"…지역벤처 '발 동동'
투자 유치 어려움 가중…전문가 "정부 적극적 개입 필요"
입력 : 2022-12-19 오후 4:50:59
[뉴스토마토 변소인 기자]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지역벤처기업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다. 수도권 편중 현상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벤처투자 시장 전반의 분위기까지 얼어붙으면서 상대적으로 지역벤처에 주어지는 기회는 더 줄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살아남는 지역벤처기업 수가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벤처기업협회의 '2022년 벤처기업인의 밤' 행사에서 퍼포먼스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벤처기업협회)
 
19일 벤처업계에 따르면 벤처투자 시장이 냉각됨에 따라 지역벤처기업의 위기감은 더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청년 인력난에 시달리는 이들 기업은 벤처투자 위축 상황 속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마련 없이는 사업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수도권의 신규 벤처투자액은 3조9608억원으로, 전국 벤처투자액(4조8668억원)의 81.4%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의 벤처투자액 비율은 18.6%에 그친 것이다. 수도권 집중화 경향은 앞으로 더 심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지역벤처의 경우 지역 제조업과 연관된 벤처기업이 많은데 이들 제조업에 불황이 닥치면서 지역벤처 역시 영향을 크게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보수적인 투자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수익화 가능성이 크고 뛰어난 인재가 많이 포진한 기업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짙어져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벤처에 적극적인 투자를 할 가능성은 낮아진 상황이다.
 
경남연구원이 지난 16일 발표한 '경남 벤처기업 수 감소 원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경남의 벤처기업 수는 지난해 10월 말 기준 1755개로, 전국에서 네 번째로 많지만, 지난 10년 새 감소 추이를 보였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벤처기업 수는 연평균 2.2%씩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경북(-2.3%)과 함께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경남은 제조업이 강점인 지역이었으나 제조업 불황의 영향으로 관련 벤처기업도 줄어든 것으로 경남연구원은 분석했다.
 
해당 연구를 담당한 배은송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경남이 벤처 관련 정책을 잘하는 편이었는데 제조업 불황과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서 벤처기업 수가 줄어들게 됐다"며 "이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보와 재정적 지원 체계, 네트워킹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 연구위원은 특히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벤처의 네트워킹 활성화를 위해 서울에 거점을 마련해 벤처기업들이 투자사들과 자연스러운 네트워킹을 통해 투자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제주도의 벤처기업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2021년 말 기준으로 제주도내 벤처기업 수는 222개였으나 올해 10월말 기준 212개로, 1년이 되지 않는 시간 동안 10개가 줄었다. 전국에서 차지하는 제주 벤처기업 비중도 0.6%에서 0.4%로 줄었다. 고도호 벤처기업협회 제주지회장은 "제주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더라도 IR을 할 수 있는 자리가 수도권에 비해서 부족한 실정"이라며 "결국 서울로 가서 투자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인데 시간과 비용이 다른 지역에 비해 곱절은 드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지역벤처기업의 경우 지리적 요인 탓에 정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등 지역벤처 투자를 위해 꾸려진 펀드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 투자가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중기부 벤처정책과는 일단 지역혁신벤처펀드를 통해 투자금이 마르지 않도록 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현장에선 좀더 구체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하는 분위기다.
 
한 대형 VC 대표는 "벤처투자시장 전체가 냉골인데 현재 수도권 중심의 아랫목만 겨우 온기를 유지하는 데 급급한 상황이다. 윗목에 있는 지역벤처기업들에게 손난로라도 쥐어주고 손난로가 고장났는지 살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위축된 시장 상황에서 지역벤처들은 구체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어야 한다"며 "정부는 시장 논리에만 맡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한 쪽의 훼손이 전체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균형감있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소인 기자 byline@etomato.com
 
 
변소인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