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강원, 충남 등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고 노후한 지방일수록 '탄소중립'에 대한 공감대가 약하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탄소중립이 중요 과제인 만큼, 민감도를 낮추기 위해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과 지역산업 구조를 다각화해 탄소중립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12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역의 탄소중립 수용력 진단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민감도는 높고 대응력은 낮은 지역은 강원, 전남, 제주, 충남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지역들은 지역 내 온실가스 배출 정도가 높거나, 녹색성장 산업 기반이 약해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전남의 경우 실제 철강, 석유화학이 지역산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경남, 울산 등 전통제조업 구조가 강한 지역은 미래차 전환 정책이나 다배출산업 규제 등에 대해 민감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강원과 충남은 탈석탄, 미래차 전환, 다배출산업 규제 등 탄소중립 정책 전반에 걸쳐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연은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 민감도를 낮춰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지역의 경제 산업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탄소중립에 대한 지역의 대응력을 높이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지역 내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 개선뿐 아니라 지역산업구조의 다각화· 고도화를 통해 탄소중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산업구조를 갖춰야 한다는 겁니다.
유이선 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 지역정책실 부연구위원은 "지역은 향후 20~30년을 목표로 추진되는 2050 국가 탄소중립 전략의 실현 공간이자 탄소중립 정책의 실질적 이행 주체"라며 "따라서 실현 공간이자 실질적 이행 주체인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역 혁신역량 제고는 저탄소·그린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이나 활용을 통해 지역산업의 탄소중립 달성 난이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일관성 있는 정책 도입과 지역의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12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역의 탄소중립 수용력 진단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민감도는 높고 대응력은 낮은 지역은 강원, 전남, 제주, 충남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은 한 공단. (사진=뉴시스)
세종=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