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유미 기자] 금융권 대환대출 플랫폼이 일제히 개시하면서 금융사 간 대출 소비자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대형은행을 필두로 한 은행권에서는 비대면 전용 상품을 출시하거나 대출 거래 비용을 지원하는 등 고객 모집에 열을 올리는 모습입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을 앞두고 은행들이 상품 준비에 분주하게 나서고 있습니다. 기존 비대면 신용대출보다 금리 및 한도 측면에서 조건을 유리하게 설정해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드는 방향입니다.
주요 시중 은행 가운데 KB국민은행은 대환대출 인프라 전용 금융 상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신용 평가 방법이나 한도, 금리 등을 손봐 비대면 전용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KB국민은행은 현재 카카오페이 플랫폼에 입점한 상태입니다.
하나은행 역시 대환대출 인프라 특화 상품을 준비했습니다. 하나은행은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핀다 등 4개 플랫폼에 입점했습니다. 우리은행은 기존 타행 대출을 자사 대출로 갈아타는 고객에게 6월 말까지 중도상환 해약금과 인지세 등 대출 거래 비용을 최대 10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우리은행의 경우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와 대환대출 제휴를 맺었습니다.
신한은행은 기존 상품을 리뉴얼해 대환 대출 전용 상품 개발을 준비 중입니다. 신한은행은 현재 카카오페이에 입점했고, 추가적으로 6월 중에 토스에도 입점할 계획입니다. 특히 6월 중에 신한SOL 자체 앱 내에서 대환대출 비교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입니다.
5대 시중은행 중 자체 앱에서 대환대출 비교서비스를 개시하는 곳은 신한은행이 유일합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으로 대환을 하려는 고객은 비교 및 대환까지 신한SOL에서 한번에 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NH농협은행은 대환대출 전용 상품을 출시보다는 기존 상품을 내놓겠다는 입장입니다. NH농협은행은 카카오페이, 토스와 제휴를 맺었습니다.
다만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플랫폼에 입점은 미뤄둔 상황입니다. 카카오뱅크·토스뱅크·케이뱅크 등은 우선 자체적인 대환 서비스를 먼저 오픈하고 대환대출 플랫폼 입점은 차후 검토할 계획입니다. 당국이 권고하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유지하려는 취지로 해석됩니다.
대환대출 비교가 가능함에 따라 은행 간의 경쟁이 심화할 전망이지만 은행권은 일단 과도한 마케팅은 지양하는 분위기입니다. 빅테크 플랫폼에 종속될 경우 수수료 부담이 과도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는 대환대출 인프라 가동이 득이될지 실이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수수료를 지불해가며 여러 플랫폼에 진출할 필요는 없어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에서는 우량 중·저신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대출 금리가 낮은 인터넷은행에 고객들이 유입되는 효과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 취급 경험을 바탕으로 우량한 중저신용 고객 유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출비교 플랫폼 앱 예시 화면. (사진=금융위원회)
신유미 기자 yumix@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