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지오 호샤 한국지엠 사장이 국내 자동차시장 노사관계에 대립이 아닌 협력의 문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상호 신뢰에 입각한 양보로 '윈-윈' 달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7일 호샤 사장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국경제연구원 주최 '외국 기업 CEO가 바라본 한국의 노동시장 특별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노동시장의 경직성에 우려를 표했다.
호샤 사장은 "최근 2년간 파업없이 노사협상을 마무리했으나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비용이 여전히 높다"며 "협상 타결을 위해선 임금인상을 대가로 치룰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년 연속 무분규 협상을 통해 타결을 이뤄냈지만 지난 5년 사이 인건비가 50% 이상 증가하며 전체 생산비용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국 GM의 생산비용은 회사가 설립된 2002년 대비 2.39배(2014년 기준) 가량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약 1.4배 오른 것을 볼 때 증가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고 말했다.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산물량과 일자리 해외 유출 현상의 심각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세르지오 호샤 한국지엠 사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외국 기업 CEO가 바라본 한국의 노동시장 특별 좌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정기종 기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 2002년 95%에 달했던 국내 자동차 생산비중은 2012년 45%로 급감했다. 반면 5%에 불과했던 해외생산은 55%로 늘어나며 국내를 앞질렀다.
낮은 생산성 문제도 심각하다. 한국 자동차업계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은 7억4700만원으로 도요타 15억9400만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 GM의 9억6800만원에 비해서도 한참 낮다. 자동차 1대를 완성하는데 걸리는 총 소요시간 역시 한국이 26.4시간인 반면 토요타는 24.1시간, 미국 GM은 23.4시간 수준이다.
호샤 사장은 "전세계 30개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GM의 공장 중 매년 임금교섭을 하는 곳은 한국 뿐"이라며 "임금상승을 생산성 향상으로 상쇄해야 하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부평, 보령, 창원 공장은 GM에서 고비용 공장으로 분류되며 이는 국내에 신제품 유치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동일한 차종을 인도에서는 절반 수준의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누구나 월급이 오르는 것은 반길만한 사안이겠으나 단순한 연공서열에 따르는 것이 아닌 합리적 수준의 책정이 필요하다"며 "비슷한 사례를 겪은 해외 국가들이 노사간 협력을 통해 이를 극복해낸 것처럼 한국 역시 가능할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날 좌담회에는 유시탁 파카코리아 전임 대표, 비크람 도라이스아미 주한인도대사, 에미 잭슨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 등도 참석해 국내 노동시장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