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통계 쏙 경제)평균임금이 354만원이나 된다고?
기관별 조사방법 달라…최대값 종속된 평균치는 현실 반영 못해
입력 : 2015-12-04 오전 9:42:50
실업률 통계와 더불어 가장 신뢰받지 못하는 통계가 있다면 바로 임금 통계일 것이다. 조사 기관마다 다른 결과 탓에 못 믿을 숫자가 돼버린지 오래다.
 
실제 고용노동부가 지난 27일 발표한 ‘사업체노동력조사’에서 전체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353만7000원이었는데, 지난 4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임금노동자의 6~8월 월평균 임금은 229만7000원이었다. 두 조사 결과 간 차이는 무려 123만원이었다. 오락가락한 통계처럼 누리꾼들의 반응도 시시각각 변한다. 평균임금이 낮으면 공감하고, 높으면 현실을 부정한다. 결과적으로는 개인별 이해관계에 따라 통계에도 취사선택이 이뤄진다.
 
통계청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의 근로형태별 월평균 임금(명목임금). 고용노동부 통계의 평균임금보다 123만원이나 적다. 표/통계청
 
이처럼 통계마다 결과가 달라지는 가장 큰 이유는 조사 방법의 차이다.
 
먼저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는 사업주들을 대상으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지역별 고용조사’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사업주들은 자신들이 실제 부담하는 비용(세전)을, 노동자들은 급여통장에 입금되는 액수(세후)를 임금으로 인식한다. 특히 사업체노동력조사의 ‘임금총액’이라는 표현에는 정액급여와 초과급여, 상여금 등 특별급여가 모두 포함된다. 반면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임금은 흔히 말하는 ‘월급(정액급여)’이다. 따라서 사업체노동력조사의 평균임금은 경제활동인구조사의 평균임금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
 
두 번째, 두 조사 기관의 조사는 표본을 구분하는 기준이 다르다. 고용노동부는 임금노동자를 상용직과 임시·일용직으로 구분하는 데 반해, 통계청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분한다. 상용직은 근속기간 1년 이상 노동자로, 여기에는 정규직과 장기근속 비정규직이 모두 포함된다. 하지만 통계에서는 물론 상당수 보도에서 표본별 종사자 지위에 대한 비교가 생략돼 상시직과 임시·일용직 간 임금격차(2.7배)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격차(1.8배)로 오인되기도 한다.
 
세 번째, 평균임금에는 근로자들의 임금실태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 이는 기관별 통계 결과를 다르게 만드는 요인이라기보다는 통계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인에 가깝다.
 
통계청의 ‘201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전체 임금노동자의 73.4%는 월 300만원을 못 번다. 특히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야당 간사인 윤호중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지난해 연말정산 자료를 분석해 지난 9월 공개한 자료를 보며 임금노동자의 중위소득은 189만7000원에 불과했다. 중위소득은 노동자들을 임금 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노동자의 소득이다. 대신 상위 1%가 평균의 약 7배에 달하는 월 1835만원을 벌었다. 따라서 평균임금이 높다는 것은 초고소득자의 임금이 높다는 의미지, 전반적인 임금이 높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밖에 자료에 대한 잘못된 해석도 통계의 신뢰도를 헤치는 문제로 지적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근속기간 무시’다. 젊은층 이용비중이 높은 포털사이트와 SNS 등에서는 임금 통계가 발표되면 “누구를 기준으로 평균을 냈냐”, “난 평균의 절반도 안 된다”는 반응이 잇따른다. 하지만 28세 취업, 30년 근속, 호봉제를 가정하면 약 16~17년차 노동자의 임금이 평균치가 된다. 일반적인 중소·중견기업에 입사한 사회초년생이라면 임금이 평균치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
 
김지영 기자 jiyeong8506@etomato.com
 
김지영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