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58년 전 4·19 혁명 당시 시민을 향해 총격이 가해졌던 청와대 영빈관 앞에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동판이 설치됐다.
서울시는 4·19 혁명 58주년에 맞춰 청와대 영빈관을 바라보는 청와대 사랑채 분수대광장 우측 보도 바닥에 역삼각형 형태(가로X세로 35cm)의 인권 현장 바닥 동판 설치를 16일 완료했다.
1960년 4월19일 오후 1시40분쯤 시민을 향해 첫 발포된 총격 현장은 경무대. 지금의 청와대 앞이다. 이날 첫 발포로 시민 21명이 죽고, 172명이 다쳤다.
당시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던 고려대 학생 피습사건이 도화선으로 대학생은 물론 중·고등학생들이 시민들과 함께 대통령이 있는 경무대(지금의 청와대)로 가기 위해 경찰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무차별 총격이 시작됐다.
서울시는 지난 2015년부터 근현대사 속 인권 탄압과 인권 수호의 생생한 역사를 품고 있는 곳에 황동으로 만든 바닥 동판을 설치해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는 ‘인권 현장 표석화 사업(인권 서울 기억)’을 추진하고 있다.
인권사의 역사적 현장 가운데 시민과 전문가 추천, 전문가 자문 회의 등을 거쳐 최종 62곳을 선정했으며, 현재까지 서울 곳곳에 설치된 인권 현장 바닥 동판은 총 46개다.
2016년에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안암동 현장, 호주제·동성동본 혼인금지제도 폐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등에 설치했다.
지난해에는 6·10 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고(故) 박종철 고문 사망 장소인 남영동 대공분실 터, 민주화 운동 당시 단일사건 최대인 1288명의 학생이 구속당한 10·28 건대 항쟁 자리, 민주인사 등에게 고문수사를 했던 국군 보안사 서빙고분실 일명 빙고호텔 터 등에 설치했다.
서울시는 인권 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친근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엮은 도보 탐방길 코스를 4월길(민주화), 6월길(민주화), 여성길(사회연대), 자유길(남산)을 운영 중이다. 현재 운영 중인 4개 탐방길은 지난해 9~11월 3달간 1300여명이 참여할 정도로 호응이 높았으며, 올해 전태일길(노동)과 시민길(사회연대)를 추가할 예정이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청와대의 협조로 그동안 설치가 어려웠던 4·19 최초 발포 현장인 청와대 영빈관 앞에 국가 폭력을 알리는 역삼각형 인권 표지석을 설치했다”며 “이런 활동이 서울시 뿐만 아니라 시민의 인권 감수성을 높이고 시민의 존엄을 보장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4·19 혁명 최초 발포현장인 청와대 영빈관 앞에 설치된 인권현장 바닥동판. 사진/서울시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