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믿음 글로벌 진출 가시화…KT, 태국 자스민과 협력
KT·태국 자스민 그룹 대표자 회동…믿음 사업화 논의 본격
대한민국 초거대 AI의 첫 해외 확산 사례
태국어 전용 LLM 개발 후 동남아 전역으로 공동 사업화 협력 예정
2023-10-22 09:00:00 2023-10-22 09:00:00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KT(030200)가 태국의 대표 정보통신 기업인 자스민 그룹과 함께 초거대 인공지능(AI) 믿음을 활용한 사업협력을 추진합니다. 이달 정식 출시에 앞서 글로벌 시장으로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KT는 지난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김영섭 KT 대표와 피트 보다라믹 자스민그룹 총수가 회동을 갖고, KT 믿음의 사업화 논의를 본격화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지난달 KT와 자스민 그룹의 계열사인 JTS가 태국·동남아시아 전용 거대언어모델(LLM) 공동 구축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데 따른 연장선입니다. 
 
이번 협력으로 양사는 태국어 전용 LLM 및 사업 모델 구축, 동남아 시장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수립, LLM 구축 기술 및 노하우 전수, 동남아 시장의 AI 규제 대응 방안 공동 수립 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특히 KT는 LLM 구축에 필요한 기술 및 노하우를 전수하고, 자스민 그룹은 동남아 시장 분석과 모델 개발의 기반이 되는 GPU 팜(Farm) 구축에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김영섭 KT 대표(중앙 오른쪽)와 피트 보다라믹 자스민 그룹 총수(중앙 왼쪽)를 비롯한 양사 주요 임원들이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만나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KT)
 
구체적으로는 내년 상반기에 자스민 그룹의 100% 자회사인 Jastel Co. Ltd가 추진하는 신규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 GPU 팜을 구축한 뒤, 하반기부터 태국어 전용 LLM을 구축하며 단계적 협업에 나섭니다. 이어 태국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글로벌 LLM 사업 모델을 공동 발굴하고 라오스와 캄보디아 등 동남아 시장으로 공동 사업화에 협력한다는 방침입니다. 
 
동남아 시장은 AI 성장성이 클 곳으로 전망되는 곳 중 하나입니다. 글로벌 리서치 전문 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의 생성형 AI 시장은 2030년까지 76억달러에 이를 것이라 전망됩니다. 데이터이쿠의 IDC 인포브리프 보고서에서는 동남아시아의 AI 솔루션 지출이 2022년 1억7400만달러에서 2026년 6억46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KT는 이번 자스민그룹과의 협업이 빅테크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데이터 주권을 가질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 초거대 AI인 GPT-3의 경우 학습 데이터의 영어 데이터가 92.6%, 한국어가 0.016%, 태국어가 0.013%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영어권 국가 언어의 학습 데이터가 적다 보니, 해당 국가의 정치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KT는 초거대 AI 수요가 있는 대다수 글로벌 국가로 믿음을 확산시킨다는 계획입니다. 
 
피트 보다라믹 자스민그룹 총수는 "이번 협력은 태국의 AI 산업을 주도하고자 하는 자스민 그룹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KT의 AI 산업에서 기술 및 노하우, 그리고 자스민 그룹의 동남아시아 지역 사업 기반 및 이해도를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글로벌 시장에서 AI 사업 공동 개척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자스민 그룹과 함께 태국의 AI 산업 경쟁력 강화에 일조하고, 나아가 동남아시아 AI 시장 공동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